React 18 Concurrent Mode: 동기적 렌더링의 한계를 넘어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방법
🤖 AI 추천
React 개발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React 18의 핵심 기능인 Concurrent Mode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콘텐츠입니다. 특히 UI 렌더링 성능 저하 문제에 직면했거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자 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React 18에서 도입된 Concurrent Mode는 동기적 렌더링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하는 새로운 렌더링 패러다임입니다. 이를 통해 React는 렌더링 작업을 중단하고 재개하며, 작업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UI 블로킹 없이 부드럽고 즉각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Concurrent Mode의 목적: 사용자 입력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성을 확보하고 UI 멈춤 현상(블로킹)을 방지하여 전반적인 UX를 향상시킵니다.
- 핵심 개념: 마치 운영체제의 멀티태스킹처럼,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실제 병렬성(Parallelism)이 아닌, 시분할(Time Slicing)을 통한 동시성(Concurrency)입니다.
- 주요 기능 및 작동 방식:
- 중단 가능한 렌더링 (Interruptible Rendering): 렌더링 작업을 중간에 멈추고 더 높은 우선순위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Time Slicing: 큰 렌더링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여 UI가 특정 작업에 의해 블로킹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Task Priority): 사용자 입력(클릭, 타이핑)과 같은 긴급한 작업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즉시 처리하고, 백그라운드 작업은 낮은 우선순위로 처리합니다. (
IMMEDIATE
>USER_BLOCKING
>NORMAL
>LOW
>IDLE
) - Automatic Batching: React 17까지 이벤트 핸들러 내부에서만 가능했던 상태 업데이트 자동 배치가 React 18에서는 Promise, setTimeout, 이벤트 핸들러 외부 등 모든 컨텍스트에서 적용되어 렌더링 횟수를 최적화합니다.
- Suspense: 비동기 작업(데이터 페칭 등)의 로딩 상태를 선언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우아한 로딩 경험을 제공합니다.
- useTransition: 상태 업데이트를 긴급한 작업과 구분하여 낮은 우선순위로 처리하도록 시작합니다. (
startTransition
API 사용) - useDeferredValue: 값의 업데이트를 지연시켜 UI의 반응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 입력 시 즉각적인 UI 반응을 유지하면서 검색 결과 업데이트는 약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 동기 렌더링 vs. Concurrent Mode 비교:
- 동기 렌더링: 한 번 시작된 렌더링은 완료될 때까지 중단 불가, UI 블로킹, 사용자 입력 지연, 애니메이션 끊김 발생 가능.
- Concurrent Mode: 렌더링 중단 및 재개 가능, UI 반응성 유지, 즉각적인 사용자 입력 처리,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지원.
개발 임팩트
Concurrent Mode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성과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복잡한 UI 업데이트나 데이터 처리 시 발생하는 성능 저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개발자가 사용자 인터랙션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코드를 작성하도록 돕습니다. React 18의 기본값으로 활성화되어 있어, 적극적인 API 활용을 통해 그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해당 콘텐츠에는 외부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생략합니다.)
📚 관련 자료
React
Concurrent Mode는 React 18부터 정식으로 도입된 핵심 기능이며, 해당 저장소는 React의 소스 코드와 Concurrent Mode의 구현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도: 100%
react-dom
Concurrent Mode의 기능들이 DOM 렌더링과 어떻게 통합되는지, `createRoot` API 사용법 등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관련 패키지입니다.
관련도: 95%
react-transition-group
Concurrent Mode의 Suspense와 함께 UI 애니메이션 및 트랜지션 관리에 대한 영감을 줄 수 있으며, 비동기 작업 시 로딩 상태 처리에 대한 간접적인 관련성을 가집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