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개발자가 흔히 저지르는 10가지 실수와 해결 방안
🤖 AI 추천
React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든 레벨의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개발 중에는 문제가 없지만 배포 후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미묘한 버그를 경험했거나, 더 견고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React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싶은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React 개발자가 프로덕션 환경에서 흔히 발생하는 10가지 코딩 실수를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URL 상태 관리 누락:
useState
만 사용하면 페이지 새로고침 시 상태가 초기화되어 URL과 UI 상태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해결책:
useSearchParams
(간단한 경우) 또는nuqs
와zod
(검증 및 타입화된 상태 관리)를 사용하여 URL을 UI 상태의 진실 공급원(Source of Truth)으로 활용합니다.
-
기본
<form>
동작 미사용:<div>
와onClick
핸들러를 사용하면 Enter 키 동작, 스크린 리더 컨텍스트, 브라우저 기본 유효성 검사를 놓칠 수 있습니다.- 해결책:
onSubmit
핸들러와e.preventDefault()
를 사용하여 네이티브<form>
동작을 활용합니다.react-hook-form
같은 라이브러리도<form>
을 기반으로 합니다.
-
복잡한 개별 상태 관리:
- 폼 요소가 많아질수록
useState
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면 복잡해지고 업데이트가 어렵습니다. - 해결책: 폼 상태를 객체로 묶어 관리하거나 (
useState
객체 활용), 복잡한 경우useReducer
를 사용합니다.
- 폼 요소가 많아질수록
-
파생된 상태 중복 관리:
birthDate
에서age
를 계산하는 것처럼 파생된 상태를 별도로 관리하면 값이 stale(오래된)될 수 있습니다.- 해결책: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다시 계산하거나, 계산 비용이 큰 경우에만
useMemo
를 사용합니다.
-
부적절한
useMemo
사용:- 매 렌더링 시 실행되는 계산이나 성능 비용이 크지 않은 계산에
useMemo
를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계산이 비싸고 의존성이 안정적인 경우에만
useMemo
를 사용합니다.
- 매 렌더링 시 실행되는 계산이나 성능 비용이 크지 않은 계산에
-
데이터 로딩 및 오류 상태 처리 미흡:
isLoading
,isError
상태를 처리하지 않으면 로딩 중 빈 화면을 보여주거나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불친절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해결책: 스켈레톤 UI, 오류 메시지, 데이터 없음 메시지를 제공합니다.
@tanstack/react-query
는 이러한 상태 관리를 간소화합니다.
-
웹 접근성 및 시맨틱 태그 무시:
<div>
를 버튼처럼 사용하거나,label
,alt
텍스트를 누락하면 키보드 네비게이션이나 스크린 리더 사용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결책:
alt
텍스트를 제공하고, 키보드로 테스트하며,eslint-plugin-jsx-a11y
나axe
를 활용합니다.
-
실시간 입력 처리로 인한 과도한 업데이트:
- 타이핑마다 상태를 업데이트하면 불필요한 렌더링과 성능 저하를 일으킵니다.
- 해결책:
debounce
훅을 사용하거나, React 18+의useDeferredValue
를 사용하여 UI 전환을 부드럽게 합니다.
-
다단계 폼에서 상태 관리 분산:
- 각 단계가 자체 상태를 소유하면 이전 단계로 돌아갔을 때 사용자 입력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부모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하거나,
react-hook-form
,zustand
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
불분명한 로딩 상태(빈 화면):
- 데이터 로딩 중에 빈 화면을 보여주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해칩니다.
- 해결책: 스켈레톤 로딩 UI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레이아웃 쉬프트를 줄입니다.
개발 임팩트
이러한 실수를 개선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견고성, 사용자 경험, 접근성, 성능이 향상됩니다. 특히 URL 기반 상태 관리와 클라이언트 측 유효성 검사는 애플리케이션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은 구체적인 커뮤니티 반응을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제시된 문제점들은 React 개발 커뮤니티에서 빈번하게 논의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내용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공감하고 자신의 경험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톤으로, 실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 관련 자료
tanstack/react-query
React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페칭, 캐싱, 동기화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콘텐츠에서 언급된 로딩, 오류 상태 처리의 모범 사례입니다.
관련도: 95%
search params (react-router)
React Router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useSearchParams` 훅은 URL 쿼리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이며, 콘텐츠에서 제시된 URL 상태 관리 문제의 직접적인 해결책으로 언급됩니다.
관련도: 90%
react-hook-form
React에서 폼 상태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콘텐츠에서 폼 상태 관리 및 처리의 효율적인 대안으로 추천되었습니다.
관련도: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