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useTransition`을 활용한 효율적인 `
🤖 AI 추천
React 개발자, 특히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Core Web Vitals 개선 및 사용자 경험 향상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React의 useTransition
API와 setTimeout
, memo
를 활용하여 <iframe>
의 초기 로딩 성능을 개선하고 사용자 인터랙션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법을 소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지연 로딩
<iframe>
구현:LazyIframe
컴포넌트를 사용하여<iframe>
의src
속성을 즉시 로드하지 않고 지연시킵니다. setTimeout
활용: 컴포넌트 마운트 시setTimeout
을 사용하여src
상태 업데이트를 약간 지연시켜 리소스 로딩 우선순위를 낮춥니다.startTransition
적용:setTimeout
콜백 내에서setSrc
를startTransition
으로 감싸 사용자 인터랙션이 중요한 작업(예: 애니메이션, 입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합니다.- 중복 상태 업데이트 방지:
useEffect
내에서 현재src
상태가 이미 목표iframeSrc
와 동일한 경우 불필요한 타이머 생성 및 상태 업데이트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 반환합니다. memo
컴포넌트 사용:LazyIframe
컴포넌트 자체를memo
로 감싸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개발 임팩트
- Core Web Vitals 개선: FCP(First Contentful Paint), LCP(Largest Contentful Paint)와 같은 핵심 웹 바이탈 지표 개선에 기여합니다.
- 사용자 경험 향상: 사용자가 페이지와 상호작용하는 동안
<iframe>
로딩으로 인한 느려짐 현상을 줄여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 성능 최적화: 불필요한 로딩 지연을 최소화하고 리소스 로딩 우선순위를 관리하여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커뮤니티 반응
이전 게시물(lazy loading for <iframe>
or updating src
on window load)에서 제시된 방법들의 한계를 언급하며, React의 useTransition
을 활용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발 커뮤니티에서 성능 최적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반영합니다.
📚 관련 자료
react
The core library for building the UI, which includes the `useTransition` and `memo` hooks used in the article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관련도: 100%
react-lazyload
A popular library for implementing lazy loading in React components, which shares the goal of improving initial page load performance by deferring the loading of offscreen images or components.
관련도: 70%
react-router
While not directly about iframes, React Router's navigation and route transitions often involve performance considerations, and the concept of managing asynchronous loading and user experience during transitions is related to what `useTransition` aims to solve.
관련도: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