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기반 Kanban 보드 구축: Dnd-kit을 활용한 드래그 앤 드롭 기능 구현 가이드
🤖 AI 추천
프론트엔드 개발자, React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개발자, JIRA나 Trello와 같은 협업 도구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싶은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특히 미들 레벨의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React 프레임워크와 Next.js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dnd-kit/core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Kanban 보드와 같은 복잡한 UI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프로젝트 설정:
create-next-app
을 사용하여 Next.js 프로젝트를 설정합니다. - 필수 라이브러리:
@dnd-kit/core
(드래그 앤 드롭 기능) 및sonner
(토스트 메시지)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 - Dnd-kit 구성 요소:
DndContext
: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전역적으로 제공하고 관리하는 컨텍스트입니다.Sensors
: 마우스, 터치, 키보드 등 드래그 동작을 트리거하는 입력 방식을 정의합니다. (PointerSensor
,KeyboardSensor
활용)Droppable
: 드롭 가능한 영역을 표시합니다. Kanban 보드에서는 각 컬럼이 해당합니다.Draggable
: 드래그 가능한 항목을 표시합니다. Kanban 보드에서는 각 작업 카드가 해당합니다.
- 컴포넌트 구현:
useDraggable
및useDroppable
훅을 사용하여 드래그 및 드롭 컴포넌트를 구현합니다. - 이벤트 핸들링:
onDragStart
(드래그 시작 시),onDragEnd
(드래그 종료 시) 이벤트를 처리하여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로직을 적용합니다.handleDragStart
: 현재 드래그 중인 항목의 ID를 상태로 저장합니다.handleDragEnd
: 드롭된 위치와 원래 위치를 비교하여 데이터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로직(예: 이전 상태로의 이동 방지)을 적용합니다. API 연동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Kanban 보드 로직:
- 컬럼(Board Columns) 정의:
idea
,todo
,in_progress
,done
과 같은 상태별 컬럼을 설정합니다. - 데이터 관리: React의
useState
를 사용하여 작업 항목 데이터를 관리하고,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따라 상태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UI 렌더링: Tailwind CSS를 사용하여 깔끔하고 반응형인 UI를 구현하며, 각 컬럼에 해당 작업 카드를 렌더링합니다.
- 컬럼(Board Columns) 정의:
- 예외 처리: 드래그 앤 드롭 시 특정 조건(예: 작업을 이전 상태로 옮기는 것)을 방지하는 로직을 구현하고
sonner
라이브러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개발 임팩트
이 가이드를 통해 개발자는 복잡한 드래그 앤 드롭 인터랙션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며, JIRA, Trello와 같은 생산성 도구의 핵심 기능 구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또한, Next.js, React, Tailwind CSS 스택에 대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톤으로,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따라 하며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기술적인 설명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각 단계별 코드 예시를 제공합니다.
📚 관련 자료
dnd-kit
콘텐츠에서 핵심적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로, React 기반의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구축하기 위한 경량, 모듈식, 고성능, 접근성 높은 도구 모음입니다. 다양한 센서, Draggable/Droppable 컴포넌트, 컨텍스트 API 등 콘텐츠에서 설명하는 모든 기능의 기반이 됩니다.
관련도: 98%
Next.js
콘텐츠에서 프로젝트 설정 및 프레임워크로 사용되는 React 기반의 웹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 정적 사이트 생성 등 현대적인 웹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콘텐츠에서 제시하는 Kanban 보드 프로젝트의 기반이 됩니다.
관련도: 85%
tailwindcss
콘텐츠에서 UI 스타일링을 위해 사용하는 CSS 프레임워크입니다. 유틸리티 우선 접근 방식을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응형 웹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Kanban 보드의 각 컴포넌트 및 레이아웃 디자인에 활용됩니다.
관련도: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