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메모이제이션: useMemo, React.memo, useCallback으로 성능 최적화하기
🤖 AI 추천
React 개발자라면 누구나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성능 최적화 기법인 메모이제이션에 대해 학습하고자 하는 모든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React 프로젝트에서 빈번한 리렌더링이나 불필요한 연산으로 인해 성능 저하를 경험하고 있거나, 이를 미리 방지하여 효율적인 개발을 하고자 하는 주니어 및 미들 레벨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React에서 불필요한 연산과 리렌더링을 방지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하는 핵심 기법인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에 대해 설명합니다. useMemo
, React.memo
, useCallback
훅을 중심으로 그 원리와 활용 방법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메모이제이션의 기본 개념: 이전에 계산된 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재활용하여 반복 계산을 피하는 기법입니다. 동적 계획법(DP)의 메모이제이션과 유사한 맥락에서 설명됩니다.
useMemo
:- 값의 불필요한 재계산을 방지하는 훅입니다.
- 처음 계산된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의존성 배열의 값이 변경되지 않으면 재계산 없이 저장값을 반환합니다.
- 의존성 배열의 값이 변경되면 계산을 다시 수행합니다.
- 예시 코드: 복잡한 계산 결과를
useMemo
로 감싸count
상태 변경 시에도double
값이 불필요하게 재계산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React.memo
:-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방지하는 고차 컴포넌트(HOC)입니다.
- 컴포넌트를
React.memo
로 감싸 사용합니다. props
가 변경되지 않으면 저장된 렌더링 결과를 재사용합니다.props
가 변경되면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됩니다.- 예시 코드:
Parent
컴포넌트의count
상태 변경 시,props
가 동일한Child
컴포넌트는React.memo
덕분에 재렌더링되지 않는 것을 보여줍니다.
useCallback
:- 함수의 불필요한 재생성을 방지하는 훅입니다.
- 컴포넌트 리렌더링 시 동일한 함수라도 새로운 객체로 재생성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의존성 배열의 값이 바뀌지 않으면 함수를 다시 생성하지 않습니다.
useMemo(() => 콜백함수, 의존성배열)
과 동일한 동작을 하지만, 함수 최적화에는useCallback
이 더 깔끔합니다.- 예시 코드:
increment
함수를useCallback
으로 감싸,count
상태 변경 시에도 함수가 재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 최적화 시 권장 사항:
- 기능 구현 후 마지막에 최적화를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필수적인 코드에만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하고, 모든 곳에 적용하지 않도록 권장합니다.
- 메모이제이션은 의존성 배열 값이나
props
변경 확인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최적화가 효과적인 경우: 무한히 증가하는 배열 아이템, 오래 걸리는 계산/데이터 변환, 단순 HTML 렌더링 컴포넌트 등에 적용 시 효과적입니다.
- 최적화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리렌더링 빈도가 낮거나 사칙연산과 같은 간단한 계산만 이루어지는 경우.
개발 임팩트
메모이제이션 기법들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React 애플리케이션의 렌더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특히 복잡하거나 데이터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성능 병목 현상을 해소하는 데 기여합니다. 개발 생산성 측면에서도 불필요한 디버깅 시간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코드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내에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은 없으나, 해당 내용은 React 개발 커뮤니티에서 매우 중요하고 빈번하게 논의되는 주제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최적화 기법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실제 적용 사례 공유가 활발합니다.)
📚 관련 자료
React
React 라이브러리 자체의 소스 코드를 통해 useMemo, React.memo, useCallback과 같은 훅 및 컴포넌트의 내부 동작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React의 성능 최적화 메커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돕습니다.
관련도: 95%
Next.js
Next.js는 React 프레임워크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및 정적 사이트 생성(SSG)과 함께 React의 메모이제이션 기법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페이지 라우팅 및 성능 최적화를 구현하는 모범 사례를 제공합니다.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의 React 최적화 적용 방안을 학습하는 데 유용합니다.
관련도: 80%
Immer
Immer는 불변성(immutability)을 유지하면서 상태를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돕는 라이브러리입니다. React에서 상태 관리를 할 때 불변성을 유지하는 것이 useMemo, React.memo, useCallback 등의 메모이제이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중요하므로, Immer 라이브러리를 통해 불변성 관리 방법을 학습하면 React 메모이제이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