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useCallback`: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함수 메모이제이션 활용법
🤖 AI 추천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함수의 불필요한 재렌더링으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겪고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이 글을 추천합니다. 특히, 자식 컴포넌트에 함수를 props로 전달하는 경우 useCallback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React에서 불필요한 함수 재생성으로 인한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useCallback
훅의 활용법과 useMemo
와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useCallback
의 목적: 함수 참조를 메모이제이션하여 각 렌더 시 새로운 함수 생성을 방지합니다.- 성능 이점: 특히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함수를 props로 전달할 때 불필요한 자식 컴포넌트의 리렌더링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사용법:
useCallback(memoizedCallback, [dependencies])
형태를 사용하며, 의존성 배열(dependencies
)의 값이 변경될 때만 함수가 재생성됩니다. - 미적용 시 문제점:
useCallback
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모 컴포넌트 렌더링 시마다 새로운 함수가 생성되어 자식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유발합니다. useCallback
적용 예시: 빈 의존성 배열([]
) 사용 시 함수 참조가 고정되어 리렌더링 시에도 동일한 함수 참조를 유지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벤트 핸들러 최적화: 반복적으로 재생성되는 이벤트 핸들러를
useCallback
으로 최적화하는 방법을useState
와 함께 예시 코드로 설명합니다. - API 호출 최적화: 상태 또는 API 호출에 의존하는 함수를
useCallback
으로 메모이제이션하여query
와 같은 의존성 변경 시에만 함수가 재생성되도록 최적화하는 예시를 제공합니다. useCallback
vsuseMemo
:useCallback
은 함수 메모이제이션에,useMemo
는 값(계산 결과) 메모이제이션에 사용되는 핵심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개발 임팩트
useCallback
을 사용하면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이나 많은 컴포넌트가 상호작용하는 경우, 메모이제이션 전략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커뮤니티 반응
해당 콘텐츠는 개인 블로그 게시물이므로 별도의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useCallback
및 useMemo
는 React 개발자들 사이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필수적인 주제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 관련 자료
react
React의 공식 저장소로, useCallback과 같은 React Hooks의 구현 및 관련 컨셉의 근간이 되는 코드 베이스입니다. React의 내부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관련도: 98%
react-redux
React와 Redux를 연동하는 라이브러리이며, 상태 관리 시에도 함수 전달 및 최적화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useCallback`과 같은 패턴이 Redux 상태 업데이트 시에도 성능 최적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5%
next.js
React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서버 렌더링 및 정적 사이트 생성을 지원하며 성능 최적화가 중요합니다. Next.js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에도 `useCallback`을 활용하여 컴포넌트 성능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