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증권 API 연동 프로젝트: 유량 제한 극복 및 성능 최적화 전략
🤖 AI 추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백엔드 개발자, 금융 IT 시스템 개발 경험을 쌓고자 하는 주니어 개발자, API 설계 및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미들급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실시간 증권 API 연동 프로젝트에서 마주치는 유량 제한, 채널 구독 한계,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성능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 과정과 전략을 다룹니다. 특히, 증권사 API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모색 및 기술적 의사결정 과정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DB 스키마 설계: 프론트엔드 와이어프레임을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DB 스키마를 설계했습니다. 이전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기능 나열 방식에서 벗어나 시각적인 가이드라인을 활용했습니다.
- API 유량 제한 극복:
- 한국투자증권 API의 한계: 1세션 41채널 구독 제한으로 인해 200개 종목 서비스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종목별 상세 페이지에 필요한 2개의 채널(실시간 호가, 실시간 체결) 사용 시 제공 종목 수가 100개로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대안 모색: 유저 상세 조회 종목에 한해 동적 구독 시도했으나, 짧은 시간 내 유량 초과 및 잦은 채널 변경 시 API 접근 제한 위험을 발견했습니다.
- DB증권 API 활용: 2세션, 세션당 50채널 구독 가능한 DB증권 API를 도입하여 200개 종목에 대한 실시간 정보 제공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 메인페이지 종목 순위 실시간 업데이트:
- 초기 구상: 거래대금, 거래량, 급상승, 급하락 기준 순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웹소켓을 통해 제공하고,
TreeSet
을 활용하여 자동 정렬을 시도했습니다. - 문제점 발견: 1초당 수십~수백 건의 체결 발생으로 인한 이벤트 과부하 가능성을 인지하고, naive한 접근 방식을 수정했습니다.
- 해결 방안: 레퍼런스 분석 결과, 토스증권도 일정 시간 간격 폴링 방식을 사용함을 확인했습니다. 최종적으로 DB증권의 '멀티 현재가 조회' API를 활용하여 50개 종목의 현재가, 시가, 고가, 저가, 대비율 정보를 효율적으로 가져오고, 거래량/대금은 기존 체결가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정렬 및 REST 응답을 구현했습니다.
- 초기 구상: 거래대금, 거래량, 급상승, 급하락 기준 순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웹소켓을 통해 제공하고,
- 주문 유량 제한 해결:
- 문제점: 1초당 10건의 REST 주문 요청 제한으로 200명 유저 대상 서비스 시 10%만 주문해도 유량 초과 위험이 있었습니다.
- 해결 방안: 직접 체결 엔진을 개발하여 모의투자 계좌당 액수 제한 없이 더 많은 시드를 제공하고, 주문 처리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개발 임팩트
- 서비스 안정성 확보: 증권사 API의 제약을 극복하고 모의투자 서비스의 핵심 기능(실시간 정보 제공, 순위 업데이트, 주문 처리)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 개발 효율성 증대: 와이어프레임 활용, DB증권 API의 멀티 조회 기능 등을 통해 개발 시간 단축 및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
- 기술적 성장: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시 대안을 탐색하고, 직접 엔진을 개발하는 경험을 통해 개발자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과 기술적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구체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톤앤매너
IT 개발, 특히 금융 IT 분야의 백엔드 개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솔직하고 전문적인 톤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의 고민, 삽질, 그리고 해결의 기쁨까지 생생하게 담아내어 동료 개발자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관련 자료
spring-boot-kotlin-stock-trading-bot
Spring Boot와 Kotlin을 사용하여 실제 증권 API(예: 키움증권)와 연동하여 주식 매매 봇을 개발하는 예제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데이터 수신, 주문 처리 로직 등 본문에서 언급된 기술적 문제와 유사한 상황에 대한 구현 방안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90%
kotlin-stock-realtime-data-api
Kotlin을 사용하여 실시간 주식 데이터를 처리하는 API 서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웹소켓 통신, 데이터 파싱 및 처리에 대한 기술적 접근 방식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85%
tradingview-charting-library
이 라이브러리는 직접적인 API 연동보다는 실시간 차트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실시간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고 사용자에게 보여지는지에 대한 프론트엔드 측면의 구현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본문의 종목 순위 실시간 업데이트와 관련된 시각화 고민에 간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