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 ACLs: Redis 6 이상에서 사용자별 접근 제어 마스터하기
🤖 AI 추천
Redis 6 이상 버전을 사용하며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를 강화하려는 백엔드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그리고 시스템 관리자에게 이 콘텐츠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특히 복잡한 인프라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나 팀이 Redis에 접근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Redis 6부터 도입된 Access Control Lists(ACLs)는 Redis 인스턴스에 대한 사용자별 세분화된 접근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기존의 단일 비밀번호 방식에서 발생했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고, 각 사용자에게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ACLs의 필요성: Redis 6 이전에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접근 권한을 가졌으나, ACLs 도입으로 사용자 기반의 접근 제어가 가능해져 보안성이 향상되었습니다.
* ACLs 주요 기능:
* 이름이 있는 사용자 생성
* 읽기 전용, Redis Streams 전용, Pub/Sub 전용 등 특정 권한 할당
* 각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명령어 및 키 패턴 제어
* SHA256 해시를 사용한 비밀번호 저장 및 역할 기반 제약 적용
* ACL 설정 방법:
* redis.conf
파일 또는 별도의 ACL 파일(users.acl
)에 사용자 정의를 통해 설정합니다.
* 명령어 예시: user <username> on ><password> +<command> ~<key_pattern>
* on
은 사용자가 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비밀번호는 평문(>
) 또는 해시(#
)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command>
는 허용되는 명령어를, ~<key_pattern>
은 접근 가능한 키 패턴을 지정합니다.
* 실시간 설정 및 관리: redis-cli
를 통해 ACL SETUSER
, ACL LIST
, ACL WHOAMI
, ACL DELUSER
명령어로 동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영구 저장: ACL 설정은 재시작 시 유지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ACL 파일에 저장(aclfile /path/to/users.acl
설정)하고 Redis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 Go 및 Asynq 예시: 특정 Go 서비스에서 Asynq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logs_stream
, runners:heartbeat
키, 그리고 Asynq 관련 Pub/Sub 채널에만 접근하도록 runner-8
사용자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합니다.
* Ansible 활용: Ansible을 사용하여 Redis ACL 파일을 구성하고 redis.conf
를 업데이트하여 Redis를 재시작하는 자동화 예시를 보여줍니다.
개발 임팩트: Redis ACLs는 각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잠재적인 데이터 유출이나 오용 위험을 줄여줍니다. 이는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잡 큐, 멀티 테넌트 시스템 등에서 중요한 보안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에서는 사용자 피드백을 장려하며 Redis ACLs 경험 공유를 요청하고 있어, 커뮤니티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