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Line 업그레이드 가이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롤백 방지 전략
🤖 AI 추천
이 콘텐츠는 SafeLine의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계획하는 DevOps 엔지니어, 시스템 관리자, 백엔드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의 중요성과 롤백 불가에 대한 경고를 이해하고 적절한 백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미들 레벨 이상의 경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SafeLine의 안정적인 업그레이드를 위한 필수 절차와 주의사항을 안내하며, 특히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의 비가역성과 백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업그레이드 전 필수 검토: SafeLine 변경 로그(Changelog)를 확인하고, 서비스 재시작으로 인한 짧은 트래픽 중단 시간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활동에 적합한 시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업그레이드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포함하며, 이는 실행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롤백 또는 복원을 원할 경우, 업그레이드 전에 반드시 SafeLine 데이터를 백업해야 합니다.
- 백업 절차:
bash cd <safeline-directory> docker compose down cp -r <safeline-directory> <backup-path>
- 일반 업그레이드:
bash docker compose up -d
(이 작업 전에 SafeLine을 중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bash bash -c "$(curl -fsSLk -- --en"
이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업그레이드가 완료됩니다. - 특정 버전(8.x 미만)에서 8.0 LTS로 업그레이드:
> 경고: 버전 8.1 이상에서는 이 명령을 실행하지 마십시오.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bash bash -c "$(curl -fsSLk -- --en --lts"
.env
파일 검증: 업그레이드 전<safeline-directory>
에서.env
파일을 확인하고 다음 필드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SAFELINE_DIR
IMAGE_TAG
MGT_PORT
POSTGRES_PASSWORD
SUBNET_PREFIX
IMAGE_PREFIX
ARCH_SUFFIX
RELEASE
REGION
경고: 필드가 누락되면 데이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Discord를 통해 개발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업그레이드 실행:
bash wget "<url_to_upgrade_script>" cd <safeline-directory> docker compose pull docker compose down --remove-orphans && docker compose up -d
명령이 오류 없이 완료되면 업그레이드가 성공한 것입니다. - 업그레이드 확인: SafeLine Web Admin Console을 방문하여 새 버전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
개발 임팩트
이 가이드를 따르면 안전하고 체계적인 SafeLine 버전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말미에 SafeLine WAF 커뮤니티(GitHub Repository, Official Docs, Discord Community) 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정보 공유 및 지원 채널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 관련 자료
safeline-ai/backend
SafeLine의 백엔드 서비스 구현체로,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주요 저장소입니다. Docker compose 설정 및 서비스 관리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관련도: 95%
safeline-ai/frontend
SafeLine의 웹 관리 콘솔로, 업그레이드 후 정상 동작을 확인하는 데 관련된 저장소입니다. 프론트엔드와의 호환성 및 UI 변경 사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0%
docker/compose
이 콘텐츠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Docker Compose의 공식 저장소입니다. `docker compose up`, `docker compose down` 등의 명령어는 Compose 파일 및 관련 기능의 동작을 기반으로 하므로, 업그레이드 절차를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관련도: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