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DDoS 공격: 백엔드 내에서 겪은 무모한 재시도 로직의 교훈
🤖 AI 추천
이 콘텐츠는 백엔드 개발자, 시스템 아키텍트, DevOps 엔지니어 등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책임지는 모든 IT 전문가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특히 서비스 장애 복구 경험이 적은 주니어 개발자부터, 분산 시스템 설계 및 운영 경험이 풍부한 시니어 개발자까지 모두 공감하고 배울 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의 안정성 확보 및 장애 예방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글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서 부적절한 재시도 로직 구현이 어떻게 심각한 서비스 장애(자가 DDoS)를 유발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공유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 상황: 외부 서비스(서비스 B) 장애 시 요청에 대한 재시도 로직을 추가했으나, 해당 로직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자체 시스템에 과부하를 발생시킴.
- 잘못된 재시도 로직:
- 기하급수적 백오프(exponential backoff) 미적용
- 모든 요청에 대해 고정된 횟수(3회)로 재시도
- 장애 발생 메커니즘:
- 서비스 B는 이미 배포 문제로 실패 중이었음.
- 모든 노드에 배포된 서비스 A의 각 인스턴스가 초당 5,000개의 요청에 대해 3번씩 재시도 실행.
- 총 6개의 인스턴스에서 발생하여 시스템 다운으로 이어짐.
- 해결 및 권장 사항:
- 기하급수적 백오프 적용
- 재시도 횟수 제한 (Retry Budget: 총 요청의 10% 이하)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패턴 적용
- 내부 요청에도 속도 제한(Rate Limiting) 적용
- 재시도 명시적 로깅 및 모니터링 강화
📚 관련 자료
resilience4j
Java 기반의 탄력성 라이브러리로, 서킷 브레이커, 재시도, 벌크헤드, 타임아웃 등 다양한 내결함성 패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글에서 언급된 재시도 로직, 서킷 브레이커, 속도 제한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95%
Polly
.NET 개발자를 위한 라이브러리로, 네트워크 오류나 외부 서비스의 일시적인 실패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하는 데 사용됩니다. 재시도, 서킷 브레이커, 타임아웃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글에서 겪었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관련도: 90%
hystrix
넷플릭스에서 개발한 분산 시스템의 내결함성을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서킷 브레이커, 격리, 타임아웃, 재시도 등의 패턴을 구현하여 시스템 장애의 전파를 막고, 서비스의 탄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글의 핵심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패턴들을 제공합니다.
관련도: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