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D 원칙: Liskov 치환 원칙 (LSP) 이해 및 Go 언어 예제
🤖 AI 추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SOLID 원칙 중 Liskov 치환 원칙(LSP)을 깊이 이해하고, 실제 Go 언어 코드를 통해 LSP 위반 사례와 올바른 적용 방법을 배우고 싶은 백엔드 개발자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게시물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기본 원칙 중 하나인 Liskov 치환 원칙(LSP)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Go 언어의 인터페이스와 구조체를 활용한 예제를 통해 LSP의 중요성과 위반 사례를 보여줍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LSP 정의: 서브타입은 반드시 자신의 베이스 타입으로 대체 가능해야 하며, 이로 인해 프로그램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합니다.
* 개념: 부모 클래스(또는 인터페이스)의 객체를 자식 클래스(또는 구현체)의 객체로 교체해도 기존 코드의 행위가 변경되어서는 안 됩니다.
* Go 언어 예제:
* Salvable
인터페이스는 Save()
메소드를 정의합니다.
* User
구조체는 Salvable
인터페이스를 올바르게 구현합니다.
* PremiumUser
구조체는 User
를 포함하고 Salv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추가 필드(PremiumLevel
)를 가집니다.
* LSP 준수 예시: PremiumUser
가 User
의 Save()
메소드 동작을 유지하고, 추가 필드를 사용하지 않는 SaveProcess
함수에서 User
대신 PremiumUser
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 LSP 위반 예시: PremiumUser
의 Save()
메소드가 PremiumLevel > 0
이라는 새로운 제약 조건을 추가하여, SaveProcess
함수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동작을 변경시킵니다.
개발 임팩트:
* LSP를 준수함으로써 코드의 유연성, 확장성,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인터페이스와 구현체 간의 계약을 명확히 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버그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모듈식 설계를 촉진하여 각 컴포넌트의 독립성을 강화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습니다.)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교육적인 톤으로 LSP의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실제 코드를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