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HttpSession을 활용한 간단한 할 일 목록(To-Do List) 구현 가이드

🤖 AI 추천

이 콘텐츠는 Spring Boo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하는 주니어 개발자나, 세션 관리를 통해 사용자별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은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웹 요청 처리, 컨트롤러 구현, HTML 템플릿 연동 등 기본적인 웹 개발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 Development

핵심 기술: 이 글은 Spring Boo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할 일 목록을 관리하는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없이 HttpSession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세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핵심적인 백엔드 기술을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프로젝트 설정: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Maven 기반의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Spring Web', 'Spring Dev Tools', 'Thymeleaf'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 컨트롤러 구현: @Controller@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todo 경로를 처리하는 ToDoController를 생성합니다.
* HTTP 요청 처리: @GetMapping을 사용하여 할 일 목록을 보여주는 메서드를 정의하고, @PostMapping을 사용하여 새로운 할 일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메서드를 구현합니다.
* 세션 관리 (HttpSession):
* 사용자별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HttpSession을 사용합니다. 세션은 브라우저가 닫히거나 로그아웃하면 만료됩니다.
* session.getAttribute("tasks")를 통해 세션에 저장된 할 일 목록을 가져옵니다.
* 할 일 목록이 없는 경우 새 ArrayList를 생성하고 세션에 저장합니다 (session.setAttribute("tasks", tasks)).
* 데이터 전달 (Model): Model 객체를 사용하여 컨트롤러에서 Thymeleaf 템플릿으로 할 일 목록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model.addAttribute("tasks", tasks)).
* 템플릿 연동 (Thymeleaf): Thymeleaf (th: 접두사)를 사용하여 HTML 페이지에서 tasks 목록을 동적으로 렌더링하고, 폼 제출을 통해 할 일 추가 및 삭제 기능을 구현합니다.
* @RequestParam을 사용하여 폼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컨트롤러 메서드 파라미터로 받습니다.
* redirect:/todo를 사용하여 작업 완료 후 목록 페이지로 리다이렉션합니다.

개발 임팩트:
* Spring Boot의 기본적인 웹 개발 흐름을 익힐 수 있습니다.
* HttpSession을 활용한 세션 기반 데이터 관리의 필요성과 구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컨트롤러, 모델, 뷰 간의 데이터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기능을 직접 구현해보며 웹 개발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습니다.

톤앤매너:
이 글은 IT 개발자를 대상으로, Spring Boot의 핵심 기능을 활용하여 실용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법을 명확하고 단계별로 설명하는 전문적인 톤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코드 예제와 함께 각 어노테이션 및 클래스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하여 기술적 이해를 돕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