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과 EC2, Nginx를 활용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입문
🤖 AI 추천
클라우드 컴퓨팅 및 IaC(Infrastructure as Code) 개념을 처음 접하거나, AWS EC2 인스턴스에 Nginx 서버를 배포하는 실습을 통해 Terraform 사용법을 익히고 싶은 초보 DevOps 엔지니어, 클라우드 엔지니어, 혹은 백엔드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Infrastructure as Code(IaC)의 핵심 도구인 Terraform을 소개하고,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HCL)를 사용하여 AWS EC2 인스턴스에 Nginx 웹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초보자 친화적으로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IaC (Infrastructure as Code): 클라우드 리소스(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식.
* HCL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Terraform에서 사용하는 선언적(declarative) 구성 언어로, 원하는 인프라 상태를 기술.
* Terraform: 클라우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는 IaC 도구.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자(AWS, Azure, GCP 등) 지원.
* AWS 계정 준비: 실습을 위한 AWS 프리 티어 계정 설정.
* Terraform 워크플로우:
* terraform init
: 프로젝트 초기화, 프로바이더 플러그인 다운로드, 상태 파일 설정.
* terraform plan
: 현재 인프라 상태와 코드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변경 계획 확인.
* terraform apply
: 계획된 변경 사항을 적용하여 인프라 생성/수정/삭제.
* terraform destroy
: Terraform이 관리하는 모든 리소스 삭제.
* 주요 용어: 프로바이더(Providers), 상태 파일(State File), 모듈(Modules).
* 실습 목표: Terraform을 사용하여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Nginx 웹 서버를 설치하여 포트폴리오 웹페이지 호스팅.
개발 임팩트: IaC를 통해 인프라의 자동화, 재현성, 버전 관리를 강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 발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Terraform 학습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인프라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톤앤매너: 친근하고 설명적인 톤으로 IT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 개념을 풀어 설명하며, 실습을 통한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