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 활동 시각화: 깃허브 잔디 위젯 직접 만들기 및 적용 가이드

🤖 AI 추천

본 콘텐츠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며 글 작성 활동을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동기 부여를 얻고자 하는 블로거, 또는 자신의 블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2021년 티스토리 API의 제약으로 인해 구현에 실패했던 경험이 있는 개발자라면, RSS와 프록시 서버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티스토리 블로그 활동 시각화: 깃허브 잔디 위젯 직접 만들기 및 적용 가이드

핵심 기술: 티스토리 블로그의 게시물 활동을 깃허브 잔디처럼 시각화하는 위젯 개발 과정을 상세히 안내하며, 이를 위해 RSS 피드와 프록시 서버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개발 배경: 2021년 티스토리 API 인증 문제로 실패했던 경험을 극복하고, RSS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실현했습니다.
* 기획: 블로그 글 작성자들에게 동기 부여를 제공하기 위해 게시물 수를 시각화하는 위젯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개발 방식:
* 티스토리 RSS 피드 자동 수집
* RSS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록시 서버 개발 (Node.js)
* 날짜별 게시물 수 API 개발 (JSON 형식)
* GitHub 잔디와 유사한 위젯 시각화
* CDN을 통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배포
* CORS 문제 해결: 브라우저 보안 정책(CORS) 제약으로 직접 RSS에 접근할 수 없어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우회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 위젯 구성: 3개월용(250x250px)과 1년용(1000x250px) 두 가지 사이즈를 제공합니다.
* 테스트 페이지: blog-graden.vercel.app을 통해 프록시 서버 상태 확인, RSS 분석, 위젯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 적용 방법:
* HTML 배너 출력 모듈을 통한 사이드바 적용 (간편)
* 스킨 편집 > HTML 코드 삽입 (커스터마이징 용이)
* 커스터마이징: JavaScript 버전을 통해 위젯 타이틀, 범례 표시 여부, 색상 등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잔디 시각화: 깃허브 기여 그래프와 유사하게, 최대 일일 게시물 수를 기준으로 활동 빈도를 5단계 색상으로 구분합니다.
* 업데이트 주기: 24시간마다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개발 임팩트:
* 개인의 블로그 활동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꾸준한 글 작성 동기를 부여합니다.
* RSS와 프록시 서버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맞춤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