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프로덕트 개선: 오늘의집 PO 리드의 여정
🤖 AI 추천
이 콘텐츠는 데이터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덕트 기획 및 개선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획자, 프로덕트 매니저(PM), 프로덕트 오너(PO)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 성장을 이끌고자 하는 IT 서비스 기획 및 운영 담당자들에게도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오늘의집 PO 리드의 경험을 통해, 초기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분석 역량을 기반으로 프로덕트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과정과 노하우를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초기 스타트업 경험: 열정적인 주니어로서 데이터 분석, 상품 프라이싱, PO 역할 등 다양한 업무를 병렬적으로 경험하며 성장.
* 문제 정의의 중요성: 데이터를 단순히 확인하는 것을 넘어, 가설 수립 및 임팩트 예측을 통해 문제를 정의하는 방식 학습.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고객 행동 로그 분석을 기반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실험을 실행하는 조직 문화 경험.
* 콘텐츠 프로덕트 전략: 콘텐츠를 상품 탐색의 출발점으로 보고, 리텐션 및 구매 여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실험하며 제품 개선.
* 홈 피드 개편: 관심 상품과 연관된 콘텐츠 노출을 통해 콘텐츠 및 상품 활동성 증대, 앱 단기 리텐션 상승을 목표로 UX 설계 및 구현.
* 협업 및 실행력: 콘텐츠&브랜드팀, 프로덕트팀, 엔지니어링팀, 추천팀, DA팀, UXR팀 등 다양한 팀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 실행.
* 데이터 기반 개선: DAU, D+1 리텐션 지표 개선, 콘텐츠-상품 교차 경험 증가, 콘텐츠 조회-거래 전환율 향상.
* A/B 테스트 및 리스크 관리: 광고 영역 노출 감소로 인한 거래액 하락 리스크를 빠르게 파악하고 2주 안에 개선하여 지표 회복.
* 사용자 보이스 활용: 정량적 데이터만으로 증명하기 어려운 문제는 오유저데이, 오메이커스 프로그램 참여 고객 대상 인터뷰를 통해 니즈 파악 및 UX 개선 시안 검증.
* 커뮤니티 피드 기획: 정보 공유 및 소통 구조의 한계를 커뮤니티 피드로 해결, 라이프 이벤트 고객의 문제 해결 지원.
* 우선순위 설정: OKR 영향도, 타겟 고객 수, 임팩트 모델링 등 정량적 기준 활용.
* 포기하지 않는 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시도와 버티는 힘 강조, 이를 통한 성장과 기회 포착.
* 팀 동기 부여: 업무의 맥락과 의미 설명, 개인 목표와 연계한 성장 과업 정의 및 1on1 미팅 활용.
개발 임팩트: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을 결합하여 프로덕트의 핵심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고객 경험을 향상시킴으로써 서비스의 성장과 확장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콘텐츠와 커뮤니티를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쳐 가치를 제공하며 장기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특정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은 없으나, 고객의 의견을 직접 듣는 프로그램을 중요시하는 태도를 통해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