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BOARD 기반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Sensta' 소개 및 개발 동기
🤖 AI 추천
TSBOARD를 운영 중이거나 커뮤니티 웹사이트를 구축하려는 개발자, 특히 Kotlin을 활용한 네이티브 앱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커뮤니티 전용 앱 개발 경험을 공유하는 글이므로, 커뮤니티 운영과 모바일 앱 연동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글은 TSBOARD라는 커뮤니티 빌더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인 'Sensta'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개발자는 Kotlin 언어를 사용하여 TSBOARD 커뮤니티 사이트 전용 앱을 구축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공유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프로젝트 개요: 커뮤니티 운영자를 위해 직접 제작한 회원 전용 안드로이드 앱.
- 핵심 언어: Kotlin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 백엔드 연동: 약 4개월 전 Go 언어로 재작성된 TSBOARD 백엔드와 기본적인 상호작용 구현.
- 소스 코드: GitHub에서 제공되며,
Env.kt
설정 변경 및 앱 아이콘 수정 등으로 바로 출시 가능한 앱 제작 가능. - 주요 기능: TSBOARD의 갤러리 기능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커뮤니티 전용 인스타그램처럼 활용 가능.
- 크로스 플랫폼 고려: React Native (RN) 등 크로스 플랫폼을 고민했으나, Kotlin 언어의 매력과 개발 편의성을 위해 네이티브 앱으로 결정.
- 현재 및 향후 개선: 구글 계정 로그인 외 네이버, 카카오 로그인 추가 예정, 커뮤니티 회원에게 유용한 기능 벤치마킹 및 추가 계획.
개발 임팩트
- 커뮤니티 운영자가 자신의 커뮤니티를 위한 맞춤형 안드로이드 앱을 쉽게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3rd party 앱 의존성 감소 및 과도한 크롤링 방지.
- Kotlin 언어 학습 및 네이티브 앱 개발 역량 강화.
- TSBOARD의 웹 기능 업데이트 시 앱에서도 즉시 활용 가능하도록 개선 예정.
커뮤니티 반응
주변 지인들로부터 크로스 플랫폼(RN, Flutter) 사용을 권유받았으나, 개발자의 Kotlin 선호로 인해 네이티브 앱으로 진행됨. 이는 개발자의 기술 선택 우선순위와 학습 곡선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임.
📚 관련 자료
TSBOARD
이 글에서 소개하는 Sensta 앱의 기반이 되는 커뮤니티 빌더 프로젝트입니다. TSBOARD의 백엔드 및 프론트엔드 구조와 연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관련도: 95%
kotlin-android-samples
Kotlin으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을 개발하는 기본적인 예제 코드를 포함하고 있어, Sensta 앱 개발 시 참고하거나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0%
Sensta (If available)
글에서 직접 언급된 Sensta 프로젝트의 GitHub 저장소로 추정됩니다. 실제 소스 코드와 구현 방식을 파악하는 데 가장 직접적인 자료가 될 것입니다. (실제 저장소 링크는 제공되지 않았으나, 글의 내용상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
관련도: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