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 네이티브 프리뷰 출시: Go 기반 컴파일러와 VS Code 확장 기능 소개
🤖 AI 추천
이 콘텐츠는 TypeScript 컴파일러의 네이티브 포트(Project Corsa)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고자 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그리고 TypeScript 언어 자체의 성능 향상 및 새로운 기능 도입에 관심 있는 모든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TypeScript의 빌드 속도 개선 및 VS Code에서의 개발 경험 향상에 관심 있는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와 관련 도구를 Go 언어로 네이티브 포팅한 결과물인 타입스크립트 네이티브 프리뷰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포팅은 Go 언어의 특성과 병렬 처리, 동시성을 활용하여 기존 컴파일러 대비 최대 10배의 속도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네이티브 컴파일러 (tsgo):
- Go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네이티브 코드로 컴파일되어 성능 향상을 이끌어냅니다.
npm install -D @typescript/native-preview
명령어로 설치 가능하며,tsgo
실행 파일을 제공합니다.- 향후
tsc
로 이름이 변경될 예정입니다. - 현재는
tsc
대비 일부 기능(예:--build
,--declaration
내보내기, 특정 저수준 내보내기 대상)이 누락되었으나, 실제 프로젝트 빌드 및 타입 검사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
VS Code 확장 기능:
- VS Code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설치 가능한 "타입스크립트 (네이티브 프리뷰)"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 설치 후 명령어 팔레트 또는 설정을 통해 "TypeScript Native Preview: Enable (Experimental)"로 활성화해야 합니다.
- 초기 단계에서는 VS Code 내장 타입스크립트 기능에 의존하며, 자동 완성, 전체 참조 찾기, 이름 변경 등 일부 편집기 기능은 개발 중입니다.
-
주요 기능 개선 및 지원:
- 타입 검사: 대부분의 타입 검사기가 포팅되었으며, JSX 및 JavaScript + JSDoc에 대한 타입 검사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 성능: Sentry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기존 타입스크립트 대비 컴파일 시간을 1분 이상에서 7초 미만으로 단축하는 등 상당한 성능 향상을 입증했습니다.
- API: 표준 I/O 및 IPC를 통한 타입스크립트 프로세스와의 통신을 위한 API 계층이 마련되었으며,
libsyncrpc
모듈을 통해 동기적 통신을 지원합니다.
-
용어 변경:
- 네이티브 포트: "Project Corsa" (TS7 예정)
- 기존 JS 기반 코드베이스: "Strada" (TS5.8)
개발 임팩트
- 빌드 속도 향상: Go 기반 네이티브 컴파일러는 개발 및 빌드 프로세스의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입니다.
- 개발 경험 개선: VS Code 확장 기능을 통해 향상된 편집기 기능과 함께 더욱 효율적인 TypeScript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 미래 전망: 최종적으로 TypeScript 7이 될 예정이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안정성과 기능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 구체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 관련 자료
TypeScript
이 프로젝트는 TypeScript의 네이티브 구현을 목표로 하므로, 오리지널 TypeScript 저장소가 가장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집니다. 새로운 네이티브 컴파일러의 기능 및 동작 방식은 이곳의 개발 방향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관련도: 95%
Go
타입스크립트 네이티브 컴파일러가 Go 언어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Go 언어 자체의 특징과 성능 최적화 기법을 이해하는 데 이 저장소가 관련이 있습니다. Go의 동시성 및 병렬 처리 기능이 프로젝트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관련도: 80%
vscode-typescript-language-features
VS Code에서 TypeScript 언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네이티브 프리뷰 VS Code 확장 기능이 이와 통합되거나 대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VS Code의 TypeScript 통합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