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st vs. LaTeX: 박사 논문 작성 경험과 기술적 비교 분석
🤖 AI 추천
프로그래밍에 능숙하고 새로운 개발 도구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연구자 또는 개발자에게 Typst와 LaTeX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 이 글은 실질적인 문서 작성 경험과 기술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효율적인 문서 작성 워크플로우 구축 및 최신 타이포그래피 언어 도입을 고려하는 분들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Typst는 박사 논문 작성을 위해 새롭게 시도된 타이포그래피 언어로, LaTeX 대비 빠른 컴파일 속도, 직관적인 언어 설계, 프로그래밍적 자유도라는 장점을 가지지만 서지 관리, 오류 메시지 처리, 생태계 성숙도 등에서는 아직 한계가 있습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Typst의 장점:
- 빠른 컴파일 속도: 문서 크기에 관계없이 실시간 PDF 미리보기 및 15초 내외의 빠른 전체 빌드 속도.
- 일관적인 언어 설계 및 낮은 학습 곡선: Rust 기반 설계로 문법 일관성이 뛰어나며, LaTeX 패키지별 문법 불일치 문제를 해소.
- 프로그래밍적 자유도 및 확장성: TOML 파싱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 스크립트 언어로서의 확장성, 현대적 툴(LSP, 컴파일러)과의 통합.
- 직관적인 템플릿 구조: 복잡한 LaTeX 템플릿 수정 대비 쉽고 빠른 설정 경험.
- 강력한 디버깅 지원: LaTeX 대비 명확한 에러 위치 및 원인 안내로 문제 해결 시간 단축.
- 내장 Syntax Highlighting: 논문 내 코드 가독성 향상 (Textmate grammar 활용, regex 기반 커스텀 가능).
- Typst의 단점 및 한계점:
- 서지 관리 부족: 단일 bibliography 지원, Bibtex 고급 기능 (변수 등) 부족으로 수동 통합 필요. Alexandria 패키지로 부분적 해결 가능하나 편의성 및 자동화 수준 낮음.
- 호환성 및 제출 서식: LaTeX와의 호환성, 협업, 논문 제출 시 요구되는 서식 지원 미흡.
- 생태계 성숙도: 공식 템플릿 및 제출 양식 제한적, 사용자 맞춤 제작 필요.
- 에러 처리의 복잡성: 일부 레이아웃 경고, 상태 기반 show rule 등은 오류 추적이 어려움.
- 변환 작업 필요: 기존 논문 제출 시 LaTeX 변환 필요 (Pandoc 등 활용), 완벽하지 않아 별도 도구 개발 필요.
- 커뮤니티 및 경쟁 도구:
- LaTeX는 30년 후에도 오픈소스로 관리될 가능성이 높으며, 컴퓨터공학 박사과정 학생들이 타입셋팅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현상 언급.
- 수학 전공자 입장에서 손글씨 대비 타이핑의 용이성과 아이디어 기록의 중요성 강조.
- LaTeX의 '공식적인 느낌'과 큰 문서 관리의 효율성 언급.
- Tectonic, Latexmk 등 LaTeX 빌드 자동화 도구 언급.
- AI 활용 연구에서 Typst, Markdown, Asciidoc이 LaTeX보다 간결하며, AI가 LaTeX 소스보다 SVG 수학 다이어그램을 더 잘 읽는다는 관점.
- LLM 활용 시 AI가 LaTeX는 잘 지원하나 Typst에는 부족하다는 의견.
- 새로운 수학 표기법 학습의 어려움 (Typst vs LaTeX).
- Typst 회사 인수 또는 소멸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LaTeX의 장기적 안정성 비교.
개발 임팩트
Typst는 프로그래밍적 자유도와 최신 기능이 필요하거나 개발자가 도구의 세밀한 커스터마이징에 매력을 느낄 때 강력한 생산성 향상을 제공합니다. 빠른 컴파일 속도와 효율적인 수정 작업은 결과물의 품질을 높이며, 반복적인 시도와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미려한 산출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표준적인 요구사항이나 초심자에게는 아직 LaTeX가 더 안정적이고 편리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특히 학회/저널 제출 시에는 LaTeX 호환성이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커뮤니티 반응
커뮤니티에서는 Typst의 속도와 직관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서지 관리, 호환성, 생태계의 미성숙함에 대한 우려가 공존합니다. 또한, LLM과의 연동 측면에서 LaTeX가 아직 더 유리하다는 의견과 함께, 언어 학습 자체의 허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 관련 자료
typst
Typst 자체의 공식 GitHub 저장소로, Typst 컴파일러, 문서, 관련 도구에 대한 모든 정보와 개발 현황을 담고 있습니다. 글의 핵심 주제인 Typst의 기술적 특징, 장단점, 미래 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관련도: 99%
latexindent
LaTeX 코드의 들여쓰기 및 포맷팅을 자동화하는 도구입니다. 글에서 언급된 LaTeX의 복잡한 문법, 비일관성, makefile의 번거로움 등과 관련하여, LaTeX 환경에서의 문서 작성 효율성을 높이는 다른 도구들의 존재를 보여줍니다.
관련도: 75%
pandoc
다양한 마크업 포맷 간의 변환을 지원하는 범용 문서 변환기입니다. 글에서 Typst로 작성된 문서를 LaTeX로 변환하는 작업의 필요성과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Pandoc은 이러한 문서 포맷 변환의 중요성과 그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