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서버에 NGINX 설치, 설정 및 다중 도메인 호스팅 가이드
🤖 AI 추천
이 문서는 Ubuntu 환경에서 NGINX 웹 서버를 처음 설정하고 관리하려는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 DevOps 엔지니어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단일 서버에서 여러 웹사이트를 효율적으로 호스팅하고자 하는 경우, 방화벽 설정 및 서비스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문서는 Ubuntu 기반 서버 환경에 NGINX 웹 서버를 설치, 구성 및 관리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웹 서버의 기본 기능부터 방화벽 설정, 서비스 제어, 그리고 단일 서버에서 여러 도메인을 호스팅하기 위한 서버 블록(가상 호스트) 설정까지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NGINX 설치: apt update
및 apt install nginx
명령어를 사용하여 NGINX를 설치합니다.
* 서비스 관리: systemctl status nginx
, systemctl stop nginx
, systemctl start nginx
, systemctl restart nginx
, systemctl reload nginx
명령어를 통해 NGINX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합니다.
* 방화벽 설정: UFW(Uncomplicated Firewall)를 사용하여 NGINX 관련 포트(HTTP, HTTPS) 트래픽을 허용합니다. ufw app list
로 프로파일 확인 후 ufw allow 'Nginx Full'
명령어로 설정하며, ufw enable
및 ufw status
로 방화벽 상태를 확인합니다.
* 서버 블록 (가상 호스트): 단일 서버에서 여러 도메인을 호스팅하기 위해 /var/www/yourblog.com/html
과 같은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토리에 index.html
파일을 만듭니다. 이후 /etc/nginx/sites-available/yourblog.com
설정 파일을 생성하고, listen 80;
, server_name yourblog.com www.yourblog.com;
, root /var/www/yourblog.com/html;
, index index.html;
등의 지시어를 포함시킵니다. 마지막으로 sites-available
의 설정 파일을 sites-enabled
디렉토리로 심볼릭 링크(ln -s
)하고, nginx -t
로 설정을 테스트한 후 systemctl reload nginx
로 NGINX를 리로드합니다.
* IP 주소 확인: hostname -I
명령어로 서버의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개발 임팩트: NGINX 설치 및 기본 설정을 자동화하여 서버 환경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 블록 설정을 통해 단일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여러 웹사이트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게 되어 비용 절감 및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확장성 있는 웹 서비스 배포의 기반이 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 내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 없음)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튜토리얼 형태로, IT 개발 및 시스템 운영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