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 안드로이드 빌드 시 가상 조이스틱 터치 불가 문제 해결: 위젯 리플렉터 활용법
🤖 AI 추천
언리얼 엔진으로 게임 개발 중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UI 터치 입력 관련 문제를 겪고 있는 게임 개발자, 특히 UI 시스템의 깊은 이해가 필요한 주니어 및 미들 레벨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언리얼 엔진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빌드 시 발생하는 가상 조이스틱의 터치 불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MG 위젯의 입력 처리 메커니즘과 Visibility
속성, Zorder
개념을 이해하고, 강력한 UI 디버깅 도구인 '위젯 리플렉터(Widget Reflector)'를 활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UMG 위젯 입력 처리:
- UMG 위젯은 기본적으로 마우스/터치 이벤트를 캡처한 위젯이 있으면 하위 위젯으로 전달하지 않습니다.
- 해결 방안으로
Zorder
를 높이거나, 터치가 필요 없는 상위 위젯의Visibility
속성을 변경해야 합니다.
Zorder
활용:AddToViewport
시 상위 위젯보다 높은Zorder
값을 설정하여 최상위 입력 우선순위를 확보합니다.Visibility
속성:Visible
: 기본값, 화면에 보이고 레이아웃 공간 차지, 클릭/터치 입력 가능.Collapsed
: 완전 숨김, 레이아웃 공간 사라짐.Hidden
: 숨김, 레이아웃 공간 차지, 입력 가능.Not Hit Testable(Self & All Children)
: 화면에 보이지만 자신 및 자식 위젯 클릭 불가, 하위 계층 위젯에 입력 전달.Not Hit-Testable(Self Only)
: 화면에 보이지만 자기 자신 클릭 불가, 자식 위젯 클릭 가능.
- 위젯 리플렉터 (Widget Reflector):
- 언리얼 엔진의 UI 디버깅 툴로, HTML의 F12 개발자 도구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화면 계층 구조, 속성, 입력 처리 여부, 현재 입력되는 UI 등을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 본 사례에서는
Visible
상태로 변경된 HUD 위젯이 마우스 입력을 막아 문제가 발생했음을 위젯 리플렉터를 통해 진단했습니다.
- 문제 해결: 위젯 리플렉터로 문제의 원인이 되는 위젯을 특정하고, 해당 위젯의
Visibility
변경 코드를 수정하여 해결했습니다.
개발 임팩트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자주 발생하는 UI 터치 입력 문제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디버깅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 UMG 위젯의 입력 처리 방식을 깊이 이해하여 복잡한 UI 상호작용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UX)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제시된 원문에는 특정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 관련 자료
UnrealEngineDocumentation
언리얼 엔진의 공식 소스 코드 및 문서 저장소로, UMG 위젯 시스템, 입력 처리, Visibility 및 Zorder 관련 상세 정보와 예제를 포함하고 있어 본 콘텐츠의 핵심 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도: 95%
UnrealEngineSource
Unreal Engine의 C++ 소스 코드 분석 및 학습을 위한 저장소로, UMG의 내부 동작 방식과 입력 이벤트 처리 로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위젯 리플렉터의 구현 원리를 파악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80%
UE4-Android-Development-Guide
언리얼 엔진 4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저장소입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특성에 맞는 UI 개발 및 디버깅 팁을 얻을 수 있으며, 본 콘텐츠의 안드로이드 빌드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