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 언어로 부트 섹터 개발: LLVM 백엔드를 활용한 저수준 프로그래밍 탐구
🤖 AI 추천
이 콘텐츠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또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저수준 기능 탐구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저수준 하드웨어 제어 및 컴파일러 백엔드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Wave 언어의 인라인 어셈블리 기능을 활용하여 x86 아키텍처의 부트 섹터를 직접 개발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LLVM 컴파일러 백엔드를 통해 Wave 코드를 LLVM IR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Wave 언어: 인라인 어셈블리(asm {}
)를 지원하여 저수준 코드 삽입 가능.
* 인라인 어셈블리 예시: mov ah, 0x0e
, mov al, 0x48
, int 0x10
명령을 사용하여 화면에 문자 'H'를 출력하는 코드 구현.
* int 0x10
BIOS 인터럽트 사용 (영상 서비스).
* AH 레지스터에 0x0E
(TTY 문자 출력) 설정.
* AL 레지스터에 0x48
('H' ASCII) 설정.
* 컴파일 및 빌드 과정: wavec run main.wave
로 LLVM IR(temp.ll
) 생성.
* LLVM 툴체인 활용: llc
명령어로 LLVM IR을 x86 오브젝트 파일(.o
)로 변환 (-march=x86
, -mattr=+16bit-mode
옵션 사용).
* 링킹: ld
명령어로 오브젝트 파일을 링킹하여 바이너리 파일(.bin
) 생성 (-m elf_i386
, -Ttext 0x7c00
옵션 사용).
* 부트 섹터 형식 지정: dd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트 섹터 끝에 표준 매직 넘버 0x55AA
추가 및 이미지 파일(os.img
) 생성.
* 테스트 환경: QEMU를 사용하여 생성된 부트 섹터 이미지 실행.
개발 임팩트: Wave 언어가 단순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넘어, 운영체제 하단의 부트 섹터와 같은 저수준 시스템 프로그래밍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합니다. 이는 향후 Wave 언어의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커뮤니티 반응: 언급되지 않음.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톤으로, 단계별 설명과 코드 예시를 통해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