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 언어의 인라인 어셈블리를 활용한 BIOS 직접 호출 및 부트로더 개발
🤖 AI 추천
저수준 시스템 프로그래밍, 임베디드 개발, 운영체제 개발 또는 컴파일러 기술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어셈블리어를 직접 다루거나,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저수준 기능을 탐구하고 싶은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
핵심 기술: Wav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인라인 어셈블리 기능을 사용하여 PC의 BIOS 기능을 직접 호출하고, 이를 통해 간단한 문자열을 출력하는 부트로더를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기술적 세부사항:
- BIOS 인터럽트
int 0x10
활용: 실모드에서 비디오 출력을 위해 AH 레지스터에0x0E
(문자 출력)를 설정하고, AL 레지스터에 출력할 문자의 ASCII 값을 넣어int 0x10
인터럽트를 호출하는 방식 설명. - 인라인 어셈블리 문법: Wave 코드 내에서
asm { ... }
블록을 사용하여 x86 어셈블리 코드를 직접 삽입하는 방법 시연. - 문자 출력 및 줄바꿈: 'H', 'i', '!' 문자와 Carriage Return (CR,
0x0D
), Line Feed (LF,0x0A
)를 이용한 줄바꿈을int 0x10
으로 구현. - Wave 컴파일 및 LLVM IR: Wave 컴파일러가 생성하는 LLVM IR 파일(
temp.ll
)을 활용하여 BIOS용 코드를 빌드하는 과정 소개. - 크로스 컴파일 및 빌드 과정: LLVM IR을 16비트 오브젝트 파일(
boot.o
)로 변환하고, 링커(ld
)를 사용하여 부트로더 바이너리(boot.bin
)를 생성하는 단계별 명령어 제시. - 부트섹터 시그니처 및 이미지 생성: 부트섹터의 필수 요소인
0x55AA
시그니처를 추가하고, 최종 부트 가능한 디스크 이미지(os.img
)를 생성하는 과정 설명. - QEMU를 이용한 에뮬레이션: 생성된 이미지를 QEMU 가상 환경에서 실행하여 결과 확인.
-
빌드 자동화:
build.sh
스크립트를 통해 전체 빌드 과정을 자동화하는 예시 제공. -
개발 임팩트: Wave 언어를 통해 저수준 하드웨어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주며, 향후 키보드 입력, VGA 메모리 접근 등 더 복잡한 시스템 프로그래밍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외부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Wave라는 신규 언어와 저수준 개발 기법의 조합은 관련 개발자들에게 흥미로운 실험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
톤앤매너: 명확한 단계별 설명과 실행 가능한 코드 예제를 제공하여, 독자가 직접 따라 하면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이고 교육적인 톤을 유지합니다.
📚 관련 자료
llvm-project
Wave 컴파일러가 백엔드로 사용하는 LLVM 프로젝트의 공식 저장소입니다. LLVM IR 생성, 최적화, 타겟 아키텍처 변환 등 LLVM 관련 기술의 근간을 제공하며, 이 글에서 `llc` 명령어를 통해 LLVM IR을 오브젝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관련도: 95%
OSDev Wiki
운영체제 개발에 필요한 방대한 정보와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위키입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BIOS 호출, 부트로더 작성, 16비트 모드, PE/ELF 포맷, QEMU 사용법 등은 OSDev Wiki의 핵심 주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관련도: 85%
gcc
GNU Compiler Collection의 저장소로, C/C++ 등의 언어를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이 글에서 `ld` (GNU linker)를 사용하여 오브젝트 파일을 바이너리로 링크하는 부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컴파일러가 어떻게 어셈블리어를 처리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