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플랫폼의 숙원: 선언적 템플릿 API 도입의 필요성과 미래

🤖 AI 추천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표준에 관심 있는 개발자, 신규 웹 프레임워크 개발자, 브라우저 엔진 개발자

🔖 주요 키워드

웹 플랫폼의 숙원: 선언적 템플릿 API 도입의 필요성과 미래

핵심 기술

본 글은 현재 웹 플랫폼의 표준 DOM API에 선언적 템플릿 API가 부재함을 지적하고, 이를 도입해야 하는 시급성과 방안을 제안합니다. 현대 웹 프레임워크에서 핵심으로 자리 잡은 선언적 템플릿팅의 이점을 활용하여, 사용자, 개발자, 프레임워크, 플랫폼 전반의 불편과 성능 저하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점: 표준 DOM API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템플릿 생성 및 업데이트 방법이 없어, 프레임워크 의존, 성능 저하, 보안 위협, 진입 장벽 발생.
  • 필요성: React, Vue, Angular 등 주요 프레임워크의 선언적 템플릿팅은 사용성, 가독성, XSS 보안 강화, 렌더링 성능, 정적 분석, SSR 등 이점을 제공함.
  • 도입 시기: 충분히 축적된 프레임워크 경험과 현대 자바스크립트 기능(태그드 템플릿 리터럴 등)을 활용하여 실용적 구현 및 표준화 가능.
  • 제안 방향: 템플릿 식별성, 시그널 기반 반응성 등 검증된 모델 종합.
  • 구현 방안: 태그드 템플릿 리터럴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API 제안으로, JSX 등 기존 개발 방식과 연계 및 확장에 용이.
  • 기대 효과: 바닐라 JS, 웹 컴포넌트, 신규 프레임워크에 직접적 이점 제공 및 기존 프레임워크의 컴파일 타겟/런타임 백엔드로 활용.
  • 향후 확장성: HTML 기반 선언형 템플릿, 선언형 커스텀 엘리먼트로의 확장 기반 마련.

개발 임팩트

  • 웹 개발의 생산성 및 보안성 향상.
  • 클라이언트 코드 크기 감소 및 초기 로딩 성능 개선.
  • 네이티브 앱과의 경쟁력 강화.
  • 웹 플랫폼의 기술적 성숙도 증대 및 혁신 가속화.

커뮤니티 반응

  • XSLT 재현 시도에 대한 우려와 함께, DSL의 본질과 학습 노력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
  • 시각적 경험으로서의 템플릿 중요성 및 절대 위치(absolute positioning) 활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
  • React의 JSX가 웹 개발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템플릿 구조가 수렴하는 경향에 대한 공감.
  • API/ABI의 비영속성과 점진적 업데이트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
  • 웹 표준 기능 추가 시 유지보수 부담과 복잡성 증가에 대한 우려.
  • 기존 프레임워크의 CPU 및 대역폭 낭비에 대한 비판과 네이티브 템플릿 및 데이터 바인딩의 필요성 강조.
  • 저수준 DOM API(applyDiff) 제공의 필요성과 DOM Parts proposal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
  • 저자의 과거 스펙 기여와 비판적 시각, 그리고 Kotlin의 DSL 접근 방식에 대한 제안.
  • SPA 복잡성 증가 시 명령형 DOM 제어의 필요성과 ref 활용의 장점에 대한 논의.
  • 안정적인 API(getElementById) 존재와 함께, 새 API 추가로 기존 API를 깨뜨릴 필요 없다는 주장.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