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Flux 비동기 환경에서의 안전한 분산 락 관리: Mono.usingWhen 패턴 활용

🤖 AI 추천

Spring MVC의 동기 트랜잭션 환경과 달리 WebFlux의 비동기 논블로킹 환경에서 분산 락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백엔드 개발자, 특히 Reactive Streams 및 Reactor 라이브러리 사용 경험이 있는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분산 락과 데이터 정합성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은 미들/시니어 레벨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WebFlux 비동기 환경에서의 안전한 분산 락 관리: Mono.usingWhen 패턴 활용

핵심 기술

WebFlux의 비동기 논블로킹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산 락 해제 시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Reactor의 Mono.usingWhen / Flux.usingWhen 패턴을 사용하여 Reactive Streams 라이프사이클에 맞춰 락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동기 vs. 비동기 환경에서의 분산 락 차이점: Spring MVC와 같은 동기 환경에서는 try-finally로 분산 락 관리가 용이하나, WebFlux에서는 DB 트랜잭션 커밋이 비동기적으로 완료되어 락 해제가 트랜잭션 커밋 전에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 WebFlux의 논블로킹 처리: 요청이 논블로킹으로 처리되며, DB 트랜잭션 커밋 시점이 Reactor 체인 내에서 비동기적으로 완료됩니다.
  • Mono.usingWhen / Flux.usingWhen 패턴:
    • 리소스 획득: Reactor 체인 시작 시 Redisson 분산 락 획득 (acquireLock).
    • 비즈니스 로직 실행: DB 트랜잭션을 포함한 실제 비즈니스 로직 수행 (joinPoint.proceed()).
    • 자원 해제: 체인 종료 시점 (정상, 에러, 취소)에 맞춰 락 해제 (releaseLock).
  • MonoFlux 오버로딩: Mono.usingWhenFlux.usingWhen은 각각 MonoFlux에 맞게 오버로드되어 있어, joinPoint.proceed() 결과에 따라 적절한 오버로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런타임 캐스팅 또는 래퍼 메서드: Publisher<T> 공통 부모 타입만 존재하고 Publisher.usingWhen(...)과 같은 추상화된 API가 없어, Mono/Flux 처리를 위해 런타임 캐스팅 또는 공통 래퍼 메서드 작성이 필요합니다.
  • 체인 실행 메커니즘: subscribe() 호출 시 체인이 시작되며, onNext(), onComplete(), onError(), cancel 이벤트에 따라 중간 오퍼레이터가 실행되고 체인이 종료됩니다.
  • 안전한 락 관리: resource, use, release 인자를 통해 락 획득(체인 시작 시)과 해제(체인 종료 시) 시점을 Reactor 체인의 라이프사이클과 1:1로 연결하여 트랜잭션 커밋 이후에만 락이 풀리도록 보장합니다.

개발 임팩트

  • WebFlux 환경에서 분산 락 관련 데이터 정합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try-finally로는 부족한 비동기 환경에서의 자원 관리를 Reactor의 생명주기에 맞춰 안전하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에러 발생이나 요청 취소 상황에서도 락 누락 없이 안전하게 해제되는 것을 보장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높입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톤앤매너

전문적인 개발자를 대상으로, WebFlux 환경에서의 분산 락 관리라는 복잡한 주제를 Reactor의 usingWhen 패턴을 중심으로 명확하고 구조적으로 설명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