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사용 시 노드.js 앱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10가지 실수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도커 사용 시 노드.js 앱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10가지 실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 Node.js 및 Docker를 사용하는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 중급 이상의 기술 수준을 요구하는 내용

핵심 요약

  • node:latest 대신 node:18-alpine 같은 최소 기반 이미지 사용
  • 멀티스테이지 빌드로 빌드/런타임 의존성 분리
  • .dockerignore 파일을 통해 불필요 파일 제거 및 npm ci --only=production 사용
  • 리소스 제한(--memory, --cpus) 설정 및 비루트 사용자 권한 부여

섹션별 세부 요약

1. **잘못된 기반 이미지 사용**

  • node:latest는 빌드 환경에 유리하지만, 생산 환경에서는 이미지 크기 증가메모리 소비 증가
  • node:18-alpine 사용 시 이미지 크기 약 5MB로 축소 가능
  • 보너스 팁: Alpine의 네이티브 모듈 문제 시 node:slim 사용

2. **멀티스테이지 빌드 미사용**

  • 빌드 및 런타임 의존성 통합 시 이미지 크기 증가, 보안 위험 증가
  • 멀티스테이지 빌드 예시:
  • FROM node:18-alpine as build
    WORKDIR /app
    COPY package*.json ./
    RUN npm ci
    COPY . .
    RUN npm run build
    
    FROM node:18-alpine
    WORKDIR /app
    COPY --from=build /app/dist ./dist
    COPY --from=build /app/node_modules ./node_modules
    CMD ["node", "dist/index.js"]

3. **`.dockerignore` 파일 누락**

  • .env, .git, node_modules 등 불필요 파일 포함 시 빌드 속도 저하, 보안 취약점 발생
  • .dockerignore 파일 생성 예시:
  • node_modules
    npm-debug.log
    Dockerfile
    .dockerignore
    .git
    .env
    tests
    coverage

4. **루트 사용자로 실행**

  • 보안 위험 증가: 루트 권한을 가진 공격자가 컨테이너에 접근 시 전체 시스템 제어 가능
  • 비루트 사용자 생성 예시:
  • RUN addgroup -S appgroup && adduser -S appuser -G appgroup
    USER appuser

5. **건강 상태 검사(`HEALTHCHECK`) 누락**

  • 기본적으로 Docker는 프로세스 실행 시 건강 상태로 간주
  • Kubernetes 등 오케스트레이터와 호환 불가
  • HEALTHCHECK 예시:
  • HEALTHCHECK --interval=30s --timeout=10s --retries=3 CMD curl -f || exit 1

6. **구조화되지 않은 로깅 전략**

  • console.log() 사용 시 로그 파싱 어려움, 시간戳 및 심각도 누락
  • 구조화 로깅 라이브러리 사용 예시:
  • const pino = require('pino');
    const logger = pino({ level: 'info' });
    logger.info('Server started');

7. **리소스 제한 누락**

  • OOM(Out Of Memory) 오류 발생 가능성
  • Docker Compose 설정 예시:
  • services:
      app:
        image: my-node-app
        deploy:
          resources:
            limits:
              cpus: "0.50"
              memory: "512M"

8. **도커파일 캐싱 비효율**

  • COPY . . 명령어를 의존성 설치 전에 배치 시 캐시 무효화
  • 효율적인 캐싱 순서 예시:
  • COPY package*.json ./
    RUN npm ci
    COPY . .

9. **개발 및 생산 환경 설정 혼합**

  • 단일 Dockerfile 사용 시 생산 환경에 불필요한 도구 포함
  • 분리된 Dockerfile(Dockerfile.dev, Dockerfile.prod) 사용 권장

10. **이미지 리소스 관리 미비**

  • 이미지 스캔 도구(docker scan, docker scout) 사용 권장
  • 이미지 정리 예시:
  • docker scout quickview my-node-app
    docker scan my-node-app

결론

  • 생산 환경에서는 node:18-alpine 기반 이미지 사용, 멀티스테이지 빌드.dockerignore 파일 생성 필수
  • 리소스 제한(--memory, --cpus) 설정비루트 사용자 권한 부여를 통해 보안 및 성능 강화
  • 도커파일 캐싱 최적화분리된 Dockerfile 사용으로 빌드 속도 향상 및 유지보수 용이성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