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개발자 생존 법칙: 실무에서 배운 핵심 교훈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 초보~중급 개발자
- 난이도: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 팁 위주
핵심 요약
- legacy code 이해는 리팩토링 전 필수 (legacy code가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음)
- clever한 코드보다 clarity가 중요 (미래 개발자에게 읽기 쉬운 코드가 핵심)
- 작은 리팩토링이 코드베이스의 질을 향상 (Boy Scout Rule 적용)
- 로그는 future-you를 위한 설명서 (구체적, 구조화된 로그 필수)
- 도구 마스터링은 생산성 향상의 핵심 (VS Code, Git, Terminal 활용법)
섹션별 세부 요약
1. legacy code에 대한 인식 전환
- 시스템이 작동하고 수익을 창출하면, 코드가 잘못된 것이 아닐 수 있음
- legacy code는 비상 상황에서 "생산성의 금"이 될 수 있음
- 리팩토링 전 커밋 히스토리, 작성자 인터뷰, 비즈니스 로직 분석 필수
2. clever한 코드의 함정
- "예쁜" 코드가 edge case에서 실패할 수 있음
- 자기 자신을 포함한 팀원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핵심
- 변수명, 주석, 로직 명확성을 통해 future-you를 위한 문서화
3. 리팩토링은 일상적 관리
- "If you touch the code, clean it up" 원칙 적용 (변수명 개선, 중복 제거 등)
- Boy Scout Rule: 코드베이스를 더 깨끗하게 남기는 것
- 작은 개선이 전체 코드베이스의 가독성 향상에 기여
4. 효과적인 디버깅 전략
- "What changed since last success?" 같은 질문이 문제 해결에 도움
- 로그는 future-you의 설명서 (구체적 오류 메시지, ID, 타임스탬프 포함)
- Rubber duck debugging 활용 (문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해결책 도출)
5. 도구 마스터링의 중요성
- VS Code:
Ctrl+P
로 파일 이동,Ctrl+Shift+L
으로 다중 커서 편집 - Git:
git add -p
로 차분한 staging,git log --graph
로 히스토리 시각화 - Terminal:
grep
,jq
활용해 데이터 분석 효율성 향상
결론
- "Accountability is trustworthiness" (오류 인정하고 개선 방안 제시)
- "Write logs like future-you has no context" (구조화된 로그 필수)
- "Tool mastery = speed" (VS Code, Git, Terminal 활용법 정복)
- "Real dev survival is about learning from mistakes, not avoiding them" (포스터마임 작성, 개선된 프로세스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