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상반기 개발자 회고: 앱 런칭 및 CMC 프로젝트 성공 전략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2025 상반기 회고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앱 개발, DevOps

대상자

  • *학생/초보 개발자 및 동아리 운영진**

난이도: 중간 (실무 경험과 기술적 도전 사항 포함)

핵심 요약

  • 프론트엔드 리더십 경험 : 동아리 컨퍼런스 프론트엔드 파트 진행, 무대 경험과 협업 프로세스 관리
  • 앱 출시 과정의 기술적/행정적 장애물 : 구글 플레이 승인 과정에서의 리젝 대응, iOS 리팩토링 및 클린 아키텍처 적용
  • CMC 16기 챌린저 프로젝트 성공 요인 : 빠른 실행력과 MVP 기반의 UI/UX 설계, 600명 사용자 달성

섹션별 세부 요약

1. 동아리 컨퍼런스 프론트엔드 리더십

  • WEB, Android, iOS 합동 컨퍼런스 진행, 연사 모집 및 무대 운영
  • UMC 포지션 특성 : 개발 초보자 중심으로 구성, 실무자 연사의 기술 전달 효율성
  • 프레젠테이션 기술 개선 : 노트북/마이크 문제 해결, 포인터 사용 최적화

2. 앱 출시 과정의 기술적/행정적 장애물

  • 구글 플레이 승인 과정 : 개인 개발자 계정으로 인한 베타테스트 요구, 리젝 사유 분석 및 이의 제기
  • iOS 리팩토링 계획 : 클린 아키텍처 적용, ViewModel UI 로직 분리, Compose로의 View System 전환
  • PM 리더십 이슈 : 군대 휴가로 인한 PM 부재, Android 리팩토링 지연

3. CMC 16기 챌린저 프로젝트 성공 요인

  • MVP 기반 UI/UX 설계 : 지도 SDK 사용, 마커 클러스터링 구현으로 부스 반응 유도
  • 600명 사용자 달성 : 웹 기반 급조 서비스로 예상치 못한 수익 및 사용자 성과
  • 빠른 실행력 강조 : 축제 기간 맞춤형 서비스 개발, BM 최적화를 통한 성공 기준 설정

4. 학교 관련 프로덕트 개발

  • 디자인 리뉴얼 및 기능 확장 : Figma 기반 컴포넌트 및 auto-layout 활용, 3D 디자인 관심 반영
  • 앱 리젝 대응 전략 : 웹 기반 급조 서비스로 축제 기간 사용자 유치, 600명 사용자 달성
  • BM 현실성 검증 : 사용자 수익 및 UI 플로우 계산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

5. 드로이드나이츠 참가 및 운영진 역할

  • 드로이드나이츠 후기 공유 : 강남 → 학교 이동, 팀 피드백 및 운영진 인사
  • CMC 17기 리드 역할 : Android 파트 단합, 스터디 문화 조성
  • Manifest Android Interview 스터디 도입 : 엄재웅님의 책 기반, 지훈님의 스터디 영향

결론

  • 빠른 실행력과 MVP 기반 설계가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이며, 기술적 장애물 대응 시 이의 제기 및 리젝 대응 전략이 중요
  • 동아리 운영 및 협업 관리는 리더십과 기술적 역량의 균형 필요, DevOps 프로세스 자동화클린 아키텍처 적용이 향후 개발 품질 향상에 기여
  • 3D 디자인, ktor 백엔드, 타입스크립트 등 다각도의 기술 습득을 통해 취업 준비 및 졸업 프로젝트 완성에 집중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