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엔진 선택의 2025년 전략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게임 개발
대상자
- 경험 있는 게임 개발자 및 엔진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는 프로그래머
- 중급 이상의 기술 습득이 필요한 개발자
핵심 요약
- 게임 엔진은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된 모노리스 구조로, 개발자의 코드보다 엔진 생성물이 게임의 95%를 차지함.
- 복잡한 아키텍처 패턴(ECS, MVC, OOP)보다 유연한 설계를 추천하며, 엔진에 의존하지 않는 동적 언어(Python, Lua)와 FFI 기능을 활용해야 함.
- AAA 게임 개발을 목표로 하는 경우, Unity/Unreal Engine은 비효율적이며, 자체 라이브러리 사용이 더 효과적임.
섹션별 세부 요약
1. 게임 엔진의 본질과 한계
- 게임 엔진은 그래픽, 물리, 네트워킹 등 복수 시스템을 추상화한 계층으로, 엔진 제조사의 라이선스 변경으로 인한 코드 소유권 분쟁 위험이 존재함.
- 95%의 게임 코드는 엔진 자동 생성물로, 게임 자체가 엔진 출판사의 소유가 될 수 있음.
- 엔진 의존도로 인한 플랫폼 이식성 저하 및 기술 오래된 엔진의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성.
2. 아키텍처 선택과 설계 원칙
- 복잡한 패턴(ECS, MVC)은 개발 효율성 저하를 유발하며, 각 시스템의 독립성을 강조해야 함.
- 경험 많은 프로그래머는 사용자 정의 아키텍처를 개발하여 불필요한 복잡성 제거 가능.
- 엔진 사용은 단순화된 게임 개발(2D 플랫폼, 3D 하이퍼 캐주얼 게임)에 적합하지만, AAA 게임 개발에는 부적합.
3. 언어 및 라이브러리 선택 전략
- C++의 성능을 요구하는 1%의 코드는 C/Java로 재작성하고, 동적 언어(Python, Groovy, Lua)에서 호출 가능.
- FFI(Foreign Function Interface)를 통해 C/Java와의 상호작용 가능하며, 엔진 비존재 상태에서 자체 라이브러리 사용이 권장됨.
4. 미래 지향적 게임 개발 접근
- 엔진이 아닌 프로그래밍 언어와 라이브러리 선택이 장기적 안정성과 플랫폼 이식성을 보장함.
- 엔진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개발을 통해 기술 독립성 확보 가능.
- AAA 게임 개발을 목표로 할 경우, 엔진 사용보다 자체 아키텍처 설계가 더 효율적임.
결론
- 엔진은 선택이 아닌 피해야 할 도구로, 자체 라이브러리와 FFI 기능을 활용한 동적 언어 기반 개발이 장기적 성공을 위한 핵심 전략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