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이직 회고 (숨고 최종합격)
카테고리
기획
서브카테고리
이직 전략
대상자
- *백엔드 개발자 및 이직 준비 중인 개발자**
- 난이도: 중급/고급 (이력서 작성, 기술 인터뷰 대비 전략, 회사별 전형 분석 포함)*
핵심 요약
- 기존 회사의 조직 규모 한계로 인한 성장 기회 부족
- 이력서 포맷 차별화 (Figma 사용)와 핵심 역량 강조
- 다양한 회사 전형 경험을 통해 기술 역량과 문화 적합성 검증
섹션별 세부 요약
이직 결정 이유
- 기존 회사(정오의데이트)의 조직 규모로 인한 기술 도입 한계
- MSA 도입, 인프라 재구성 등 다양한 도전을 통해 성장 기회 확보
- 레거시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및 신규 서비스 개발 경험을 통해 스타트업 역량 축적
이력서 준비 과정
- 노션 → 피그마로 이력서 포맷 변경 (시각적 차별화 및 페이지 수 줄이기)
- 기술적/비즈니스 임팩트가 큰 업무만 수록 (정량적 성과 기반)
- 피드백 요청: 딩코딩코(토스 서버 개발자)를 통한 기술 역량 검증
각 전형 후기
- *AB180**
- 사전과제: 에어브릿지 기능 구현 (캐싱, 대규모 트래픽 처리 등 고난도 요구사항)
- 결과: 탈락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예외 처리 미흡)
- *버즈니**
- 사전과제: AI커머스 포지션 제안 (API 구현 중심)
- 결과: 탈락 (러닝 커브가 높은 기능 미숙)
- *에이블리**
- 기술 인터뷰: 이력 기반 질문 + 사전 과제 기반 문제 해결 전략 검증
- 결과: 탈락 (유저 경험과 비즈니스 균형 고려 미흡)
- *토스**
- Python Developer(Platform) 포지션 지원
- 직무 인터뷰: 기술 선택 이유, 문제 정의 및 해결 방법 깊이 검증
- 결과: 1차 합격 (문화적합성 인터뷰 후 탈락)
- *숨고**
- 원데이 2차&3차 인터뷰: 커피챗, 레퍼런스 체크 진행
- 결과: 최종합격 (기술적 역량 + 문화 적합성 균형)
결론
- 이력서는 Figma 등 디자인 툴로 시각적 차별화와 핵심 역량 강조 필요
- 기술 인터뷰 준비 시, 자료구조 개념 정리 및 문제 해결 전략에 집중
- 문화적합성 인터뷰에서는 회사 비즈니스와 유저 경험 균형 고려
- 최종 합격에 도달한 숨고는 기술 역량과 문화 적합성의 조화를 중시하는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