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2025년 서버리스 아키텍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프라/DevOps/보안

대상자

  •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기업 IT 팀**
  • 중급 이상의 기술 이해도를 요구하는 실무자
  • 서버리스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 경험자

핵심 요약

  •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2025년 기준으로 FaaS(Funtions as a Service)와 BaaS(Backend as a Service)의 통합형 모델로 진화
  • Edge 네트워크와의 깊은 통합을 통해 지연 시간 최소화 및 지역별 데이터 처리 가능
  • AWS CDK, Terraform, OpenTelemetry 등 IaC 및 관찰성 도구로 확장성과 관리 효율성 향상

섹션별 세부 요약

1.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정의와 진화

  •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음을 의미하지 않으며, 인프라 관리 추상화로 개발자 생산성 향상
  • 2025년 기준, AWS Lambda, Azure Functions 등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실행 시간 확장(최대 60분 이상) 및 상태 유지 워크플로우 지원
  • BaaS(인증, 저장소, 메시징 등)를 통해 서버 인프라 없이 전체 애플리케이션 구축 가능

2. 엣지 컴퓨팅과의 통합

  • Cloudflare, AWS 등이 엣지 네트워크 기반 FaaS 플랫폼 제공
  • 지역별 데이터 처리 및 GDPR 등 법규 준수, 콘텐츠 배송 효율성 향상
  • 브라우저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연 시간 감소 효과

3. 관리 도구와 관찰성 개선

  • AWS CDK, Serverless Framework, Terraform 등 IaC 도구로 서버리스 리소스 정의 및 버전 관리 지원
  • OpenTelemetry 기반의 세부 트레이싱, 로깅, 모니터링 도구로 분산 시스템 문제 진단 용이
  • 자동 스케일링 기능으로 동시 실행 수천 회 처리 가능

4. 비용 효율성 및 확장성

  • 불규칙한 워크로드에 대한 사용량 기반 비용 모델 적용, 비활성 시간 비용 절감
  • 예산 관리 도구를 통한 비용 예측 및 제어 가능
  • e-커머스, 미디어, IoT 애플리케이션의 유연한 스케일링 지원

결론

  • 2025년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엣지 네트워크 통합과 IaC 도구 활용을 통해 확장성과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전략
  • OpenTelemetryAWS CDK 등 표준 도구를 기반으로한 자동화 프로세스 구축이 실무 적용 시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