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달러로 넷플릭스 같은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 현실 세계에서의 기대치 관리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대상자: 프리랜서 개발자,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자,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
- 난이도: 중급 (실무적 프로젝트 관리 및 고객 협상 기술 적용)
핵심 요약
- 예산과 기능의 불일치를 식별하는 방법:
- "500달러로 넷플릭스 서비스 구현"과 같은 경고 신호를 식별하여 실제 요구사항과 예산 간 격차를 파악 (예: "simple Netflix" 또는 "basic Facebook" 같은 표현 사용)
- 프로젝트 단계별 비용 구조화:
- Phase 1 (기본 영상 플랫폼, $2,000), Phase 2 (사용자 관리, $3,000), Phase 3 (고급 기능, $5,000+), Netflix 수준 기능 ($50,000+)
- 커뮤니케이션 전략:
- "I don't build cheap websites, I build websites that make money" 같은 가치 기반 가격 정책으로 고객의 기대치를 재정의
섹션별 세부 요약
1. **경고 신호와 녹색 신호 식별**
- 경고 신호:
- 예산이 실제 비용의 20% 미만
- "simple Netflix"와 같은 표현 사용
- 계약 거부, "final result" 후 지불 요구
- 녹색 신호:
- 프로세스 및 타임라인에 대한 질문
- 예산 범위 사전 논의
- 기술적 질문 및 유지보수 고려
2. **프로젝트 단계 및 비용 구조**
- Phase 1 (기본 영상 플랫폼, $2,000):
- 정적 영상 플레이어, 기본 영상 업로드, 간단한 사용자 계정
- Phase 2 (사용자 관리, $3,000):
- 사용자 인증, 프로필 관리, 영상 관리 대시보드
- Phase 3 (고급 기능, $5,000+):
- 결제 통합, 추천 시스템, 모바일 최적화, 분석 도구
3.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템플릿**
- "I understand you're excited to launch quickly..." 같은 실제 타임라인 설명으로 고객의 과도한 기대치 조정
- "Here's what $500 actually gets you..." 같은 세 가지 옵션 제시 (예산 내, 현실적 최소, 전체 비전)
4. **계약 및 결제 프로세스**
- 50% 예치금 (작업 시작 전), 25% 마일스톤 1 (디자인 승인), 25% 완료 후 지불
- 변경 사항은 별도 계약 필요
- 계약 템플릿: Bonsai, Legal Templates
결론
- "Education beats argumentation" (교육이 논쟁보다 효과적)으로 고객의 기술적 복잡성과 비용 구조를 간단한 언어로 설명
- "Value-based pricing" (가치 기반 가격) 전략으로 시간과 품질을 보장
- "Contract Templates" (계약 템플릿) 및 "Project Management Tools" (Notion, ClickUp 등) 사용으로 프로젝트 투명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