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9–1 규칙과 AI가 DevOps에 미치는 영향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 DevOps 엔지니어, 인프라 전문가, 시큐리티 담당자
- AI 도구 사용자 및 리뷰어
- 중간 수준 이상의 기술 이해도를 가진 개발자
핵심 요약
- 90%의 사용자는 DevOps 도구와 파이프라인을 사용하고, 9%의 편집자는 설정 수정 및 스크립트 조정을 수행하며, 1%의 창작자는 핵심 프레임워크와 모듈을 개발한다.
- AI는 1%의 창작자 역할을 점점 더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법적 책임, 보안 취약점, 규제 준수 문제가 발생한다.
- AI 생성 코드의 리뷰 및 검증을 위한 인간 중심의 감시 체계가 필수적이다.
섹션별 세부 요약
1. 90–9–1 규칙의 DevOps 적용
- 90%의 사용자는 CI/CD 파이프라인, 인프라-as-코드 모듈, 자동화 스크립트를 사용하지만, 직접 수정하지 않는다.
- 9%의 편집자는 구성 파일 수정, 스크립트 튜닝, 대시보드 맞춤화를 수행한다.
- 1%의 창작자는 DevOps 도구와 핵심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2. AI 도구의 등장과 역할 변화
- GitHub Copilot, Azure DevOps Copilot, CrewAI, LangChain agents 등 AI 도구가 Dockerfile, Kubernetes 매니페스트, Terraform 모듈 생성 및 CI/CD YAML 수정 등 작업을 수행한다.
- AI는 observability 대시보드 생성, 성능 모니터링, 자동 배포 결정 등 기존 인간이 수행하던 작업을 대체한다.
3. 법적, 보안, 준수 문제
- AI 생성 코드가 S3 버킷 공개 설정 오류, 비라이선스 라이브러리 통합, 잘못된 패치 적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
- AI 도구는 법적 책임이 없음에도 시스템의 규제 준수와 보안 취약점 방지에 영향을 미친다.
4. 편집자 역할의 중요성 증대
- AI 생성 코드에 대한 리뷰, 검증, 감사 로그 등이 필수적이다.
- AI 사용 정책, 자동화 감시, 인간 리뷰 의무화 등이 새로운 DevOps 문화로 자리 잡아야 한다.
5. AI 시대의 역할 변화
- 90% 사용자는 AI 생성 워크플로우, 로그, 알림, 대시보드와 상호작용해야 하므로 AI 리터러시가 필수적이다.
- 9% 편집자는 AI 생성 코드의 검증자, 감사자, 유효성 검사자로 역할이 확장된다.
- 1% 창작자는 AI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인간은 여전히 책임 소재이다.
결론
- AI 도구의 사용은 DevOps 파이프라인에 혁신을 가져오지만, 법적 책임, 보안, 준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생성 코드의 감사, 정책 수립, 인간 리뷰 의무화가 필수적이다.
- DevOps 팀은 AI 생성 코드의 리뷰 프로세스, 자동화 감시, AI 도구 사용 정책을 수립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