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업무일지 #1: 사용성 중심의 스크린리더 개선 방안
카테고리
디자인
서브카테고리
UX 디자인
대상자
- iOS 개발자, 접근성 컨설턴트, 디자이너
- 난이도: 중간 (접근성 기술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스크린리더(보이스오버) 사용 시 레이블(Label), 역할(Role), 상태(State) 3가지 핵심 정보를 정확히 파악해야 사용성 향상 가능
- 기존 역할 정보 위치(문장 끝)로 인한 사용자 불편: 항목을 넘기며 역할 정보를 놓칠 수 있음
- iOS 18.4 "컨트롤 항목 순서 설정" 기능 추가로 사용자가 역할 정보 위치를 직접 설정 가능해짐
섹션별 세부 요약
1. 스크린리더 기능 소개
- 보이스오버는 시각장애인 사용자에게 화면 요소를 음성으로 전달
- 3가지 핵심 정보 제공:
- 레이블(Label)
: 컴포넌트 내용
- 역할(Role)
: 버튼, 탭 등 컴포넌트 종류
- 상태(State)
: 활성화, 비활성화 등 현재 상태
- 사용성 향상을 위해 역할 정보 위치 조정 필요
2. 기존 문제점 분석
- 역할 정보 위치(문장 끝)로 인한 사용자 불편:
- 사용자가 앞부분만 듣고 항목을 넘기면 역할 정보를 놓침
- 예: "쌓인 이자 2,253원, 5,931,424원, 버튼" → "버튼" 정보만 끝에 위치
- 리스트 컴포넌트에서 특히 문제가 반복됨
3. 개선 방안 제안
- 역할 정보 분리 읽기:
- "쌓인 이자 200원 10,000원 버튼" → 항목별로 쪼개어 읽음
- 효과음으로 구분: 버튼 → 띵
, 스위치 → 툭
, 텍스트 → 무음
- 역할 정보 우선 읽기:
- "버튼, 쌓인 이자 200원 10,000원" → 역할 정보를 문장 앞부분에 위치
4. iOS 18.4 업데이트
- "컨트롤 항목 순서 설정" 기능 추가:
- 사용자가 역할 정보 위치를 앞에, 뒤에, 생략 선택 가능
- 기존 iOS에서는 역할 정보가 항상 문장 끝에 고정되어 있음
- Android, Windows 등 다른 플랫폼에서는 이미 제공된 기능
5. 결론 및 의미
- 사용자 경험 중심 접근이 시스템 변화로 이어짐:
- 내부 토론과 iOS 18.4 기능 개선 방향이 유사함
- "원칙 보다 사용성"에 집중한 접근이 실제 변화를 가능하게 함
결론
- 접근성 개선은 사용자 불편을 직접 해결해야 함
- iOS 18.4의 "컨트롤 항목 순서 설정" 기능을 활용해 역할 정보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실무 적용 권장사항
- 디자이너와 개발자 협업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접근성 향상 방안 도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