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AI 보안 강화 위한 데이터안심구역 4곳 추가 지정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AI 고도화, 안전한 데이터 필수…정부, 데이터안심구역 4곳 추가 지정

분야

데이터 과학/AI

대상자

  •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정책 결정자
  • 난이도: 중급 - 데이터 보안 및 규제 준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분

핵심 요약

  • 데이터안심구역은 민감 데이터를 기술적·관리적으로 보호한 상태에서 AI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데이터산업법 제11조에 따라 지정됨
  • 4곳 추가 지정(건양대병원, 경북대 첨단기술원, 기술보증기금, 한국도로공사 온라인센터)로 국내 데이터안심구역은 총 14곳으로 확대
  • 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미개방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 지원

섹션별 요약

  1. 정책 확대 및 신규 지정

- 기존 10곳에서 14곳으로 증가

- 의료·교통·에너지·재무 데이터 분석 기반 마련

- 온라인 기반 안심구역 첫 도입(한국도로공사)

  1. 신규 지정 기관별 역할

- 건양대병원: 대전 서구 의료 데이터 분석 공간

- 경북대 첨단기술원: 대구 수성구 스마트시티센터 교통·에너지 데이터 분석

- 기술보증기금: 부산 본사 기업 재무 데이터 보호 분석

- 한국도로공사: 온라인 기반 민감 데이터 처리 환경 구축

  1. 데이터안심구역 정의 및 운영 기준

- 보안대책 기준운영 지침 준수 필수

- 고위험 데이터 보호를 통한 AI 개발 지원

- 미개방 데이터 활용을 위한 협력 플랫폼 제공

  1. 데이터 유형 다변화 효과

- 기존 의료·금융·전력·농식품 등에서 교통·에너지·재무까지 확대

- 데이터 경계 확장으로 AI 연구 다양성 증가

결론 및 참고 사항

  • 데이터안심구역은 AI 혁신과 데이터 보안의 균형을 실현하는 핵심 인프라로, 공공·민간 협력이 필수적
  • 규제 준수보안 기준 강화를 통해 민감 데이터 활용의 신뢰도 상승
  • 추가 지정 기관은 데이터 유형별 맞춤형 분석 환경 구축에 집중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