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K와 MCP의 협업: AI 개발을 혁신하는 두 도구의 강력한 조합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대상자
- AI 개발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인공지능 기술자
- 중간 난이도: ADK와 MCP의 기능 이해 및 결합에 대한 기본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ADK (Agent Development Kit):
Python
기반의 다이나믹 팀 구성,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지원을 통해 AI 에이전트 개발의 효율성 극대화 - MCP (Model Context Protocol): 개인 정보 보호 기반의 실시간 외부 데이터 연동 기능으로 에이전트의 맥락 인식 능력 강화
- 실무 적용 예시:
ADK + MCP
를 활용한 스마트 개인 비서 개발 (예: 스트레스 감지 시 미팅 자동 재스케줄링)
섹션별 세부 요약
1. ADK의 핵심 기능
- Python-Powered Simplicity:
- Python
언어로 에이전트 코드 작성 가능 (예: FinanceBot
생성)
- 다이나믹 팀 구성: 에이전트 간 태스크 위임 기능 지원
- Multimodal Magic:
- 텍스트, 음성, 영상 통합 인터페이스 제공 (예: Netflix 스타일의 사용자 경험)
- 제한점:
- 개인 파일/캘린더/API 직접 접근 불가 (MCP와 연동 필요)
2. MCP의 핵심 기능
- Universal Plug-and-Play:
- Google Drive
, GitHub
, 스마트 홈 기기
등 다양한 시스템과 연결 가능
- USB-C 유사한 인터페이스 제공 (예: Claude와의 연동)
- Privacy-First 설계:
- 사용자 동의 기반의 데이터 접근 (개인 정보 유출 방지)
- Real-Time Context:
- 실시간 외부 데이터 반영으로 에이전트의 의사결정 정확도 향상
- 제한점:
- 에이전트 생성 기능 없음 (ADK와 같은 도구 필요)
3. ADK + MCP 실무 예시: 스마트 개인 비서 개발
- Step 1: MCP를 활용한 외부 시스템 연동
- Google Calendar
, Work Email
, Fitness Tracker
등 연결
- Step 2: ADK로 에이전트 개발
- Fitbit 스트레스 감지 시 자동 미팅 재스케줄링 기능 구현
- API 직접 개발 없이 MCP의 연결 기능 활용
4. 결론: 두 도구의 시너지
- ADK = 뇌 (Conductor), MCP = 감각 기관 (Instruments)
- 실무 권장사항:
- ADK로 핵심 로직 개발 후 MCP로 외부 시스템 연동
- 사용자 맞춤형 트리거 설정 (예: /check-calendar
명령어)
- 개인 정보 보호 기준 준수 (MCP의 Privacy-First 설계 활용)
결론
- ADK와 MCP의 결합은 AI 시스템의 자율성과 맥락 인식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핵심 전략이며, Python 기반 개발과 실시간 데이터 연동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