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단일 브레이크포인트 사용의 한계와 진보된 디버깅 기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웹 개발자, 디버깅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중급 이상 개발자

핵심 요약

  • 조건부 브레이크포인트로 반복문 또는 특정 조건에서만 중단하여 디버깅 시간 절약 가능
  • 트레이스포인트로 프로그램 흐름 방해 없이 로그 수집 및 비동기 코드 분석 가능
  • 일회성 브레이크포인트로 단일 이벤트 확인 후 자동 삭제하여 코드 정리 효율화

섹션별 세부 요약

1. 기존 브레이크포인트의 한계

  • 기본 브레이크포인트는 조건 없이 실행 중단
  • 반복문(예: for (i=0; i<1000; i++))에서 모든 실행 중단 시 비효율
  • 디버깅 코드 삽입(예: Console.WriteLine(x))으로 PR 오염 발생 가능성

2. 조건부 브레이크포인트 활용

  • 특정 조건(i == 998) 충족 시만 실행 중단
  • IDE에서 브레이크포인트 우클릭 → "Condition" 설정 가능
  • if (i == 998) Console.WriteLine(x); 와 같은 디버깅 코드 필요 없음

3. 트레이스포인트 기능

  • 프로그램 실행 중단 없이 로그 수집 가능
  • 비동기 코드 또는 경쟁 조건 분석 시 유리
  • Log values, hit counts, custom messages 직접 출력 가능

4. 일회성 브레이크포인트

  • 단일 이벤트 확인 후 자동 삭제
  • Setup 또는 rare code path 분석 시 유용
  • 브레이크포인트 우클릭 → "Temporary" 마킹으로 설정

5. 종속 브레이크포인트

  • 특정 브레이크포인트 실행 후만 작동
  • 다단계 검증 프로세스(예: multi-step validation)에서 효과적
  • 수동 추적 대신 dependent breakpoint 설정으로 효율성 향상

6. 필드/프로퍼티 변화 감지

  • field/property 읽기/쓰기 시 실행 중단
  • 출력 오류 시 다른 코드가 값을 변경했는지 확인 가능
  • 모든 디버거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음

결론

  • 조건부, 트레이스포인트, 일회성 브레이크포인트 등을 활용해 디버깅 시간 30% 이상 절약 가능
  • Tracepoints 사용 시 Console.WriteLine() 대체로 로그 남기기 추천
  • Conditional Breakpointsi == 998 같은 복잡한 조건 처리 시 필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