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Agentic 웹(웹4.0)의 개념과 기술적 변화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트렌드

대상자

- 소프트웨어 개발자, 인공지능 엔지니어, 웹 개발자

- 난이도: 중간~고급 (기술적 개념과 미래 기술 트렌드 설명 포함)

핵심 요약

  • 자율 에이전트(Agents)가 사용자의 명령 대신 웹 상호작용을 자동화
  • Model Context Protocol (MCP)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델, API, 메모리 간 협업 가능
  • Selector, Specialist, Orchestrator 모델 역할 분담으로 다양한 작업 처리 가능
  • 장기 기억(Long-term Memory) 기능으로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섹션별 세부 요약

1. 웹의 진화와 Agentic 웹의 개념

  • 웹1.0: 읽기 전용, 웹2.0: 사용자 상호작용, 웹3.0: 분산화, 웹4.0: 자율 에이전트 기반의 자동화
  • 사용자가 명령 대신 의도 표현 (예: "비행 예약 필요" → 에이전트가 자동 처리)
  • 에이전트는 이전 행동 기억, 관심 분석, 최적 도구 선택, 협업 가능

2. Agentic 웹의 작동 방식

  • MCP 프로토콜을 통해 모델, API, 메모리 간 실시간 통신
  • 에이전트가 문서 분석 → 목적 파악 → 필요 코드 생성 → 실행 가능
  • 고정된 API 실행 대신 조건에 따라 모델 선택, 조합 (예: 검색, 생성, 분류 등)

3. 모델 역할 분담

  • Selector(선택자): 작업 유형에 따라 GPT-4, 이미지 모델, 분류기 등 사용
  • Specialist(전문가): 특정 작업 수행 (예: 텍스트 생성, 이미지 분석)
  • Orchestrator(지휘자): 여러 전문가 결과 통합 및 최종 출력 생성

4. 장기 기억(Long-term Memory) 기능

  • 사용자 스타일, 여행 계획, 일정, 감정 상태 저장
  • 모듈형/보안형 기억 관리 (사용자가 저장/삭제 가능)
  • 개인화된 경험 제공 (예: 기술적 질문 시 기술적 답변, 감정적 질문 시 공감적 대응)

5. 실제 사례

  • Microsoft Copilot: 복잡 작업에 대한 기억 및 계획 기능 추가
  • Azure Semantic Kernel: 에이전트의 작업 계획, 메모리 저장, 함수 조합 지원
  • 자체 API 통합: 새 API를 코드 생성으로 자동 통합

6. 결론

  • Agentic 웹은 기술 트렌드이자 인간 잠재력 해방의 수단
  • 개발자는 MCP,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장기 기억 기술 학습 필요

결론

  • Agentic 웹은 사용자 의도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자율 에이전트, MCP 프로토콜, 모델 역할 분담이 핵심
  • 현실 적용 예시로 Microsoft Copilot, Azure Semantic Kernel 참고
  • 미래 개발자에게 필수적인 기술 트렌드로, 실무에서 MCP 프로토콜과 자율 에이전트 아키텍처 연구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