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AGI 위원회, AI 백년대계 설계…초거대 모델부터 윤리체계까지 '확정'
카테고리
트렌드
서브카테고리
AI 전략
대상자
- 정책 입안자, AI 산업 리더, 연구자, 기술 기업
- 중간~고급 난이도: 정책적 방향성과 기술적 구체성 병행
핵심 요약
- "범정부 초거대 AI 구축"으로 100조원 규모 투자로 기술 종속 해소
- "넥서스 AI 코리아"를 통해 하이브리드 AI 인프라 클러스터 구축
- 데이터 주권 강화와 AI 윤리 로드맵을 통한 포용적 사회 구현
섹션별 세부 요약
1. AI 전략 부문
-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 정부 폐쇄망 기반의 민감데이터 활용
- AI-양자융합 전략: 양자컴퓨팅 기술 연구, 산업 생태계 육성
- AI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탑5(Top5)" 진입 목표 설정
2. 넥서스 AI 코리아 계획
- 종로 세운상가 일대를 글로벌 AI 혁신 거점으로 재편
- 엔비디아 GPU, 비엔비디아 GPU, QPU 집약된 올 인 AI 랩 구축
-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AI 인프라 클러스터로 설정
3. 데이터 주권 전략
- 공공/산업 데이터를 AI 학습 자산으로 전환
- 고품질 한국어 LLM 말뭉치, 멀티모달 데이터셋 구축
- 100만 개 일자리 창출과 오픈소스 AI 확산 병행
4. AI-양자컴퓨팅 융합
- 국내 양자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한 R&D, 인재 1,000명 양성
- 양자 '탑5', AI '탑5' 진입 기술 목표 설정
5. AI 윤리 및 법제도 전략
- 책임 있는 AI와 포용적 접근권을 축으로 한 윤리 로드맵 수립
- AI 오남용, 편향성, 사회적 불평등 대응 방안 포함
- 사회계약 재설정과 교육·인식 확대 추진
결론
- 정부-산업 협력과 100조원 투자를 통해 AI 기술 주권 확보 및 포용적 사회 구현이 핵심
- 하이브리드 인프라 구축과 양자-AI 융합 전략이 장기 성장 기반 마련에 중대한 역할
- 윤리적 AI 프레임워크 수립은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의 필수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