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제가 내 에이전트를 호출합니다 🤖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대상자
AI 에이전트 개발자, LLM 기반 시스템 설계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난이도: 중급 이상, LLM 및 AI 에이전트 기술 기반 개발 경험 필요)
핵심 요약
- LLM 및 Agentic Workflow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AI 에이전트 개발의 핵심 원칙을 정리
-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와 MCP(Model Context Protocol) 등 주요 기술 용어 정의
- 비확정성(Non-determinism) 처리, Guardrail 적용, A/B 테스트 등 실무적 도전 과제와 해결 방안 제시
섹션별 세부 요약
1. 서문: AI 에이전트 개발의 현재 동향
- Sam Bhagwat의 "_Principles of Building AI Agents_" 도서 소개 및 핵심 주제 정리
- GenAI(Generative AI)의 "Software 3.0" 개념과 이전 기술(예: 블록체인)과의 비교
- LLM 기반 에이전트의 확장성과 도전 과제 강조
2. 핵심 용어 정의
- LLM(Large Language Model)
- 예: GPT-4
, Llama
- Embedding
- N
-차원 벡터로 토큰/문서 의미 표현 (예: [0.12, ..., 0.95]
)
- MCP(Model Context Protocol)
- 외부 리소스(예: city_db
)와 Tool(예: fetch_weather(city)
) 활용 규칙 정의
- RAG
- 벡터 데이터베이스(pgvector
, Pinecone
)를 활용한 문맥 확장 기법
3. 실무적 개발 원칙
- 비확정성(Non-determinism) 대응
- Guardrail 적용 (예: PII 데이터 반환 금지)
- Eval 기반 성능 평가 (예: OpenAI Evals)
- Agentic Workflow 설계
- 그래프 기반 확정적 오케스트레이션 (예: Fetch doc → summarise → email
)
- 비용-성능 균형
- 초기 단계: 고정확도 모델(GPT-4
) 사용 → 이후 최적화
4. 기술적 도전 과제
- 호스팅 vs 오픈소스 모델 선택 고려사항
- 예: Claude
vs DeepSeek
- 사용자 경험(UX) 개선 기법
- 웹소켓(ElectricSQL
)을 활용한 실시간 응답 스트리밍
결론
AI 에이전트 개발 시 RAG, MCP, Guardrail 등 핵심 기술을 적용하고, 비용-성능 균형을 고려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며, 비확정성 처리를 위한 Eval과 A/B 테스트 활용이 실무적 성공 요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