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델라 "AI 에이전트 시대는 개방형 생태계가 주도"
카테고리
트렌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머신러닝
대상자
- *AI 개발자, 기업 전략가, 오픈소스 커뮤니티**
- 난이도: 중간 수준*
핵심 요약
- A2A 프로토콜 채택으로 AI 에이전트 생태계의 개방성 강조
- MCP와 A2A의 수직/수평형 개념 차이로 업계 표준 도출 가능성
- 오픈소스 모델(예: 파이, 라마)의 확산이 엔터프라이즈 AI 협업 촉진
- AI 에이전트는 복잡한 작업 수행을 위해 다중 프로토콜 통합 필요
섹션별 세부 요약
- 마이크로소프트의 A2A 프로토콜 도입
- A2A와 MCP 프로토콜을 동시에 지원 → 에이전트 웹 구현의 핵심
- A2A는 에이전트 간 통신 지원(수평형), MCP는 외부 도구 연동(수직형)
- MS는 빅테크 중 최초로 A2A 채택, 구글과 메타의 MCP도 지원
- 오픈소스 생태계 확장 전략
- 애저 AI 파운드리와 MS 코파일럿 스튜디오에 A2A 지원
- 오픈소스 모델(라마, 미스트랄) 호스팅 및 파이(sLM)의 오픈소스화
- 엔터프라이즈 AI에 상호운용성 중요성 강조(나델라, 저커버그 발언)
- AI 에이전트로 인한 업계 변화
- 파운데이션 모델은 보안 이유로 비공개 예상, 에이전트는 협업 필수
- 오픈AI도 2024년 오픈웨이트 추론 모델 출시 계획 발표
- AI 에이전트는 복잡 작업 처리를 위해 외부 데이터/도구 연동 필요
결론
- *AI 에이전트 생태계의 성장은 개방형 프로토콜(A2A, MCP)과 오픈소스 모델 확산에 기반**하며, 기업 간 협업과 상호운용성(인터오퍼라빌리티)이 핵심 성공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