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아키텍트의 도구킷: 감독 학습과 비감독 학습의 핵심 패러다임 탐색
카테고리
데이터 과학/AI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머신러닝
대상자
AI 아키텍트, 데이터 과학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 *난이도 관점**: 기초부터 고급까지의 개념 설명. SL/USL의 차이점, 알고리즘 선택, 아키텍처 설계 등 실무 적용을 위한 심화 내용 포함
핵심 요약
- 감독 학습(SL)의 핵심:
레이블
이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예측
수행 (예:Linear Regression
,SVM
,Neural Networks
) - 비감독 학습(USL)의 핵심:
레이블
이 없는 데이터에서패턴
/구조
탐색 (예:K-Means
,PCA
,Isolation Forest
) - 아키텍처 고려사항: SL은
MLOps
및데이터 라벨링 파이프라인
필요, USL은데이터 레이크
및인터프리테이션 도구
필수
섹션별 세부 요약
1. 감독 학습(Supervised Learning)
- 핵심 메커니즘: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를 통해 모델 학습 (
f(x) = y
학습) - 주요 작업:
- 분류 (Classification): Spam/Not Spam
, Binary/Multi-class Classification
- 회귀 (Regression): House Price Prediction
, Stock Market Forecasting
- 알고리즘: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s
,XGBoost
,Neural Networks
- 아키텍처 고려사항:
- Data Labeling Pipeline
: 인력 기반/활성 학습 전략 필요
- MLOps
: 모델 배포 및 모니터링 필수 (API
, Batch Process
)
- Scalability
: Spark
, AWS SageMaker
등 분산 컴퓨팅 활용
2. 비감독 학습(Unsupervised Learning)
- 핵심 메커니즘: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에서
군집
,차원 축소
,이상 탐지
수행 - 주요 작업:
- 군집 (Clustering): Customer Segmentation
, Anomaly Detection
- 차원 축소 (Dimensionality Reduction): PCA
, t-SNE
, UMAP
- 이상 탐지 (Anomaly Detection): One-Class SVM
, Isolation Forest
- 아키텍처 고려사항:
- Data Lake
: 비구조화된 데이터 저장 및 처리 필수
- Interpretability Tools
: 시각화/대화형 탐색 도구 필요 (t-SNE
, UMAP
시각화)
- Iterative Design
: 실험 환경 및 유연한 파이프라인 필요
3. SL/USL의 주요 도전 과제
- SL의 문제점:
- 레이블 데이터 부족
및 비용
- Bias in Labels
: 편향된 레이블로 인한 모델 편향
- Overfitting
및 Cold Start Problem
- USL의 문제점:
- Evaluation Difficulty
: Ground Truth
없이 성능 평가 어려움
- Interpretability
: 인간 해석 필요 (Clustering
, Dimensionality Reduction
결과)
결론
- SL/USL 선택 전략:
- SL: 레이블 데이터
가 충분한 경우 (Customer Churn
, Fraud Detection
)
- USL: 레이블 데이터
부족 시 (Anomaly Detection
, Customer Segmentation
)
- 아키텍처 설계 팁:
- SL은 MLOps
와 Data Labeling Pipeline
을 통합, USL은 Data Lake
와 Interpretability Tool
사용
- Scalability
를 위해 Spark
, AWS SageMaker
등 분산 인프라 활용
- Bias
와 Data Drift
를 방지하기 위한 Data Governance
및 Model Monitoring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