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AI 코딩 에이전트 지시 방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바이브코딩
대상자
- AI 코딩 에이전트 사용자 (예: GitHub Copilot, Claude Code 등)
- 초보자~중급자 개발자 (지시문 작성 및 워크플로우 최적화 기술 필요)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자 (요구사항 명확성과 문서화 강조)
핵심 요약
- !!/AA/AP/AS/!!! 코드 형식의 명령어를 사용해 요구사항 정의 → 계획 → 검토 → 실행 → 업데이트의 5단계 워크플로우를 구현
- 문서화(
docs/requirements/
,docs/plan/
)는 코드 품질 보장과 재사용 가능성 확보의 핵심 afplay /System/Library/Sounds/Glass.aiff
소리 알림으로 단계별 검증을 강제 적용
섹션별 세부 요약
1. 요구사항 정의 (Requirements)
- !! 명령어로 사용자 목적(
what
)만 명시하고, 구현 방법(how
)은 생략 - 요구사항 문서는
docs/requirements/req-{name}.md
에 저장 - 검토 대상: 요구사항의 모순, 누락, 불명확성
2. 실행 계획 수립 (Implementation Plan)
- AA 명령어로 단계별 구현 체크리스트 생성 (최적화 제외)
- 계획 문서는
docs/plan/plan-{name}.md
에 저장 - 검토 필수: 각 단계의 실현 가능성, 기술적 간극 확인
3. 요구사항 검토 (AP)
- AP 명령어로 요구사항의 논리적 오류 및 설계 결함 탐지
- 반복 검토를 통해 요구사항의 완전성 확보
- 의견 제시 후 사용자 확인을 통해 진행
4. 실행 (AS)
- AS 명령어로 계획에 따라 단계별 구현
git stage
및git commit
으로 변경사항 기록- 코드 품질 검증: 실행 결과와 계획의 일치성 확인
5. 업데이트 (!!!)
- 요구사항 변경 시 !!! 명령어로 요구사항/계획/구현 동시 업데이트
- 문서 일관성 유지: 변경 사항이 전체 프로젝트에 반영
6. 인프라/도구 활용
- CLAUDE.md (Claude Code), copilot-instructions.md (GitHub Copilot) 등 에이전트별 커스텀 프롬프트 적용
- 소리 알림 기능은 단계 완료/확인 요청 시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 제공
결론
-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와 문서화가 AI 코딩 에이전트의 성공을 좌우
- !!/AA/AP/AS/!!! 명령어를 기반으로 한 워크플로우는 GitHub Copilot (Claude Sonnet 3/4)과 호환되며, GPT/Gemini에서는 제한적 효과
- 소리 알림(
afplay
)은 작업 흐름 관리에 유용한 실무 팁 - "true source code" 개념: 문서는 코드와 동일한 중요도로 관리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