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DX 열풍 속 ‘테크 인재 확보’ 미션 내건 기업들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데이터 분석, AI
대상자
- *HR 전문가, 기술 리더, 기업 전략 담당자**
- 중간~고급 수준의 기술 이해도를 가진 분야
핵심 요약
- AI·DX 전환에 따라 기업들이
DevOps
,데이터 분석
,AI 엔지니어
등 테크 인재 확보에 집중 - 밀리의서재는 콘텐츠와 기술 융합을 위한 12개 테크 직군 채용 진행
- 메가존클라우드는 AI 네이티브 전략 구현을 위해 1100명 규모의 AI 전문 인력 확보 계획
섹션별 세부 요약
1. 밀리의서재: 콘텐츠 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테크 인재 확보
- 2025년 테크 집중 채용 진행, DevOps, 데이터 분석, iOS 개발자 등 12개 직군 대상
- 오프라인 서비스 강화를 위한 기술 기반 실행력 강화 목표
- 독자 경험 향상을 위한 기술 인재 확보 전략
2. 월급쟁이부자들: IT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
- MAU 150만명 달성 후 IT 전환 가속, AI 중심 경쟁 환경 대응
- 22개 IT 직군에 대한 대규모 공개 채용 진행
- 플랫폼 및 제품 설계 역량 강화를 통해 비즈니스 다각화 기반 마련
3. 메가존클라우드: AI 네이티브 전략 선포
- 클라우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AI 솔루션 개발 추진
- AI·ML 엔지니어, 데이터 인프라 전문가 등 약 100명 채용
- 글로벌 자격 보유 인재 확보를 통해 AI 중심 운영 체계 확장
4. 컬리: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고도화
- 상품 큐레이션·물류 혁신 기반으로 AI 기반 제품 경쟁력 확보
-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프로덕트 직군 중심 채용
- 생성형 AI 문제 해결 역량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아 인재 확보
5.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자동화 물류 확장
- AI·머신러닝 기반 자동화 물류 기술 도입
- 오토메이션 엔지니어 정규직 채용 진행
- 지역 거점 기반 채용 확대를 통한 지역 경제 동반 성장 추진
결론
- AI·DX 전환 시
AI 엔지니어
,DevOps
,데이터 분석
등 테크 인재 확보가 핵심 전략 - 기업은 기존 클라우드/IT 역량 기반 AI 전환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함
- 채용 시 생성형 AI 활용 역량, 기술 전환 능력을 평가 기준으로 삼는 것이 실무 적용에 도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