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AI와 바둑④ "손끝의 감각, AI가 흉내 낼 수 없는 것"
카테고리
기획
서브카테고리
트렌드
대상자
AI 개발자, 바둑 기사, 기술-예술 교차 분야 연구자 / 중간 이상의 전문 지식 요구
핵심 요약
- 인간의 '손맛'과 감각은 AI의 수치적 분석으로 표현 불가능한 핵심 요소
- AI는 정답을 제시하지만, 인간은 감정과 철학을 바탕으로 선택
- 실전 대국의 '감정적 신호'는 디지털 화면에서 감지 불가능
섹션별 세부 요약
1. AI의 분석력과 인간의 감각의 대비
- AI는 승률, 최적 수, 변화도를 정확히 계산하지만, "손맛"이라는 인간 고유의 감각을 재현 불가
- 김명훈 9단과 이세돌 9단의 인터뷰에서 AI의 "완벽함"이 답답하다는 인식 공유
- 프로기사들의 "맛이 없는 수"라는 표현으로 AI의 감정적 결여 강조
2. 인간의 선택과 AI의 데이터 중심 접근
- AI는 모든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한 가지 길을 선택하는 것은 인간
- 감정, 취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선택이 "이 수가 나를 닮았다"는 감각으로 연결
- 실전 대국의 긴장감과 "묘한 기세 싸움"은 디지털 화면에서 감지 불가
3. 인간의 실수와 AI의 불완전성
- 인간은 실수를 통해 배우지만, AI는 실패/불안/긴장을 인정하지 않음
- 위기 순간의 직감적 선택이 판 흐름을 바꾸는 사례 언급
- 노장 기사의 발언: "진짜 바둑은 사람이 두는 거예요. 감정이 있고, 철학이 있어야죠"
결론
- AI와 인간의 협업이 아닌, 인간의 감각과 철학이 바둑의 핵심 가치
- AI 시대에서도 "몸으로 두는 바둑"의 가치 재조명
- 실전 대국이 AI 복기보다 더 큰 배움을 제공하는 점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