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역사: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와 미국의 전략 컴퓨팅 계획
카테고리
트렌드
서브카테고리
AI 역사 및 기술 경쟁
대상자
AI 역사, 기술 경쟁, 국제 정책 분석에 관심 있는 연구자 및 학생
핵심 요약
-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1982-1992)는 ULSI 기술과 병렬 처리를 기반으로 AI 기능을 탐구했으나, 실용적 성과가 미흡함
- 미국의 전략 컴퓨팅 계획(1983-1993, DARPA 주도)은 국가 안보와 경제 성장을 목표로 AI 및 컴퓨팅 기술을 통합한 광범위한 연구 프로젝트로 진행됨
- 제5세대 프로젝트는 영국 알비 프로그램, 유럽 에스프릿, 미국 MCC 등과의 기술 경쟁을 촉발하며 AI 발전의 역사적 전환점으로 작용함
섹션별 세부 요약
1.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 배경
- 1973년 석유 위기로 인해 일본은 중화학공업에서 자동차·전자 산업으로 전환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음
- 1982년 일본 통산성 주도로 시작된 프로젝트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 전문가 시스템, 자연어 처리를 목표로 했음
- ULSI(Ultra Large-Scale Integration) 기반의 병렬 처리 기술과 정교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AI 초강국을 꿈꿨음
2. 프로젝트의 성과와 한계
- 10년간 570억 엔 투자 및 학문적 성과 있었으나, 실용적 응용 프로그램 부재 및 하드웨어 성능에서 미국 기업에 뒤처짐
- PIM/m 병렬 추론 머신 등 기술적 시도 있었으나, 상업적 성공에 실패함
3. 미국의 전략 컴퓨팅 계획(SC)
- 1983-1993년 DARPA 주도로 10억 달러 투자하며 AI·컴퓨팅 기술 통합을 추진함
- 국가 안보를 위한 전투기 조종사 보조, 전투 관리, 자율 지상 차량 등 3대 응용 시스템 개발
- 냉전 시대에 국가 간 갈등 상황을 대비한 정찰·공격 임무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4. 역사적 영향과 유산
- 제5세대 프로젝트는 영국 알비 프로그램, 유럽 에스프릿, 미국 MCC 등과의 기술 경쟁을 촉발함
- SC 프로젝트는 자율 차량, AI 연구 등에 장기적 영향을 미쳤으나, 실용화에 실패함
- MCC는 1990년대 초반 해체했으나, 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 연구팀이 자율 차량 개발을 이어감
결론
- 제5세대 프로젝트와 SC는 AI 역사에서 기술 경쟁의 전형이었으며, 현재의 AI·자율 시스템 개발에 기초 연구를 제공함
- 실용성 부족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기술 혁신의 촉매제로 작용함
- 과거의 실패 사례는 현재 AI 프로젝트에서 장기적 전략 수립과 실용성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