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림 비디오와 LLM을 활용한 AI 회의 어시스턴트 개발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스트림 비디오와 LLM을 활용한 AI 회의 어시스턴트 개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대상자

- 대상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AI 엔지니어, 웹/앱 개발자

- 난이도: 중급 (Node.js, React, API 연동 기초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스트림 비디오와 LLM(대규모 언어 모델) 통합:

- 실시간 대화 분석을 위한 Stream Video 인프라와 Gemini 같은 LLM 연동

- GoogleGenerativeAI API를 사용한 텍스트 분석 및 요약

  • 핵심 기술 스택:

- Node.js, React, StreamChat, axios, dotenv

  • 시스템 아키텍처:

- 비디오/음성 전송 → 음성 인식 → LLM 분석 → 요약 및 액션 항목 추출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정의 및 AI 회의 어시스턴트의 필요성

  • 현대 회의의 문제점:

- 가상 회의 후 의사결정, 액션 항목 등 핵심 정보 유실

- "Wait, what did we decide?" 같은 후속 커뮤니케이션 증가

  • AI 어시스턴트의 역할:

- 실시간 텍스트 전사, 지능형 요약, 자동 액션 항목 추출 제공

- 사용자 경험 향상 및 회의 효율성 극대화

2. 스트림 비디오 플랫폼 기능

  • 핵심 기능:

- 저지연 비디오/오디오 전송

- 다양한 네트워크 조건에서의 안정성

- 클라우드 기반 녹음 및 저장

- 사용자 인터페이스 커스터마이징

- API 연동을 위한 StreamChat@google/generative-ai 지원

3. 백엔드 설정 및 API 구현

  • 환경 설정:

- Node.js, npm, React 설치 필요

- .env 파일에 STREAM_API_KEY, GEMINI_API_KEY 등 설정

  • 필수 모듈:

- express, cors, dotenv, axios, GoogleGenerativeAI

  • 핵심 API 엔드포인트:

- POST /api/create-meeting: 스트림 토큰 생성

- POST /api/webhook: 스트림 이벤트 처리 및 전사본 저장

- POST /api/analyze-meeting: Gemini LLM을 통한 분석 및 요약

4. 웹훅 설정 및 테스트

  • 로컬 서버 노출:

- ngrok 사용하여 http://localhost:5000을 HTTPS URL로 노출

  • 스트림 웹훅 구성:

- call.transcription_ready 이벤트 활성화

- 웹훅 URL: https:///api/webhook

결론

  • 실무 팁:

- 웹훅 요청의 signature 검증 필수 (생산 환경)

- Gemini-2.0-flash 모델 사용 시 빠른 분석 처리 가능

- ngrok URL은 매번 재시작 시 변경되기 때문에 테스트 시 주의

- 전사본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실제 사용 시 데이터베이스로 확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