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작전 현장에서 군사 혁신의 시작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기고] 인공지능, 이제는 작전 현장으로부터 군사 혁신을 시작할 때

카테고리

트렌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대상자

  • 군사 기획자, AI 개발자, 국방 정책 담당자
  • 난이도: 중간 수준 (군사 혁신 전략과 AI 도입 방안의 기초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AI는 작전부대에 필수적인 무기 및 업무 도구로 인식되어야 한다
  • 미국의 FDSE(전방배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TF59(태스크포스 59) 사례가 군사 혁신의 핵심 모델
  • 민간-군 협업 생태계 구축이 AI 도입의 핵심 전략

섹션별 세부 요약

1. 과거 군사 혁신의 성과 및 현재 문제점

  • 2020년 이후 국방부 및 군 본부에 AI 전담조직이 확대 설립됨
  • 작전부대는 AI 인식 부족과 인력 부족으로 기존 업무 방식 유지
  • 행정 업무(예: 인원 보고)의 비효율화가 지속됨

2. AI 도입의 필수성과 현장 적용의 어려움

  • 생성형 AI를 통해 지능적 업무 체계 구축이 필요
  • 군 내 AI 전문 인력 부족 및 사업소요 기간(수년)으로 인한 적시성 저하
  • 민간 기술 인력과 협업을 통한 신속한 문제 해결 필요

3. 미국 사례: FDSE 및 TF59의 혁신적 모델

  • FDSE: 민간 엔지니어가 고객사에 상주해 소프트웨어로 문제 해결 (예: AIG 보험 심사 시간 2~3주 → 3시간 단축)
  • TF59: 민간 기업의 AI/무인체계 실험 허용 → 디지털 탈론 2.0 훈련에 AI 무인체계 투입 (2년 만에 성과 도출)

4. 한국 군의 AI 도입 방향과 제안

  • 민간 기술 인력의 작전부대 배치를 통한 현장 문제 해결 필요
  • NEVER, 카카오, 팔란티어 등 민간 기업과 협업 체계 구축 제안
  • 군-민 협업으로 미래 전장의 게임 체인저 창출 가능성

결론

  • 군사 혁신을 위해 AI 도입은 필수이며, FDSE 및 TF59 모델을 참고한 민간-군 협업 생태계 구축이 핵심 전략
  • 즉시 실행 가능한 방안: 민간 기술 인력의 작전부대 상주 및 AI 기반 업무 자동화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