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잘못 사용하지 말자: 엔지니어의 책임과 AI의 적절한 활용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DevOps 팀: AI 도구 사용 시 엔지니어링 책임의 중요성 인식
- 난이도: 중간 (AI 도구 사용 경험 있는 개발자 대상)
핵심 요약
- AI는 보조 도구일 뿐, 엔지니어의 책임을 대체할 수 없음
GitHub Copilot
같은 도구는 코드 작성 보조만 제공하고, 검토 및 디버깅은 인간의 책임- AI 생성 코드는 항상 테스트 및 수정이 필요함
- 예: AI 생성 코드에 버그가 발생 시,
수동 검토
없이 사용하면 시스템 불안정 유발 - AI 도구 사용 시 투명성 강조
- PR 내 AI 참여 비율 명시 (예:
80% AI 생성
표기)
섹션별 세부 요약
1. AI 도구의 현황과 문제점
- AI는 코드 작성, 문서 작성, 복잡성 분석 등 엔지니어링 작업을 혁신
AI 활용
과엔지니어링 책임 포기
사이의 경계선을 넘으면 시스템 불안정 유발- 사례: AI에 완전히 의존한 고참 개발자의 작업 방식 (Jira 티켓 복사 → AI로 PR 생성 → 검토 없이 코드 사용)
2. AI 의존의 위험성
- AI 생성 코드의 품질은 인간 검토에 달려 있음
- 예: AI 생성 코드에 버그 발생 시,
수동 디버깅
없이 AI에 추가 코멘트로 "교정" 시도 - AI는
fine-tunable LLM
이 아님 →Reinforcement Learning
이 아닌희망적 사고
- 결과: 작업 지연 (1일 예상 → 5일 소요), 버그 증가, 리뷰러 혼란
3. AI와 인간의 역할 분담
- AI는
코드 작성 보조
만 제공 →수동 검토
없이는 책임 이전 - AI 생성 코드가
인간이 이해하고 유지보수 가능
해야 함 (블랙박스 코드 금지) - 디버깅은
선택이 아닌 필수
(AI는 런타임 버그, API 오류 해결 불가)
4. AI 사용 가이드라인
커밋된 코드에 대한 책임은 인간에게 있음
(AI는 초안 작성만 가능)AI 참여도 투명성 강조
(예: PR에 AI 생성 비율 명시)인간이 이해 가능한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
만 허용 (블랙박스 금지)디버깅은 필수
(AI는 버그 해결 불가)
결론
- AI는 도구일 뿐, 엔지니어의 책임을 대체할 수 없음 →
AI 생성 코드는 반드시 수동 검토 및 수정
투명성
과인간 중심의 작업 흐름
유지가 필수 → 예: PR 내 AI 참여도 명시, 코드 유지보수 가능성 확인- AI를
협업 도구
로 사용해야 하며,책임 회피
는 혁신이 아닌소홀
로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