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달러 충전했는데 3일만에 5만원 긁힌 이력서 AI 서비스 개발기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AI
대상자
- *기술 개발자, 취업 준비자, 채용 담당자**
- 난이도: 중급 이상 (API 통합, AI 모델 활용, 프론트엔드 개발 기술 필요)*
핵심 요약
- Claude API를 6번 호출하는 구조로, 비용이 높은 편
- 이력서 평가 기준: 소프트스킬, 도메인 관심사, 성과 중심
- SvelteKit + Storybook으로 UI/UX 개발 분리 및 테스트 효율화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인식: 이력서 평가의 한계
- 학력보다 빅테크 출신 경력자가 더 높은 확률로 합격
- 기술 스택 중심의 이력서가 아닌 소프트스킬, 성과, 도메인 관심사가 중요
- 채용 담당자 시점에서 "광탈" 방지가 우선 순위
2. AI 기반 이력서 평가 서비스 개발
- Claude API를 6번 동시 호출하는 시스템 구조
- 항목별 체크리스트 기반 점수화 (기술 스택 점수는 낮게 부여)
- 할루시네이션 방지 전략: 시스템 프롬프트 분할, 실패 시 retry 로직
3. 개발 기술 스택 및 효율화
- SvelteKit으로 서비스 로직과 UI 분리
- Storybook을 통해 UI 테스트 시 Claude API 호출 횟수 절감
- 클로드코드로 자동화된 설정 및 컴포넌트 개발
결론
- 소프트스킬과 성과 중심의 이력서 작성이 채용 성공률을 높인다.
- Storybook 사용을 통해 UI 개발 시 API 호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AI 모델 활용 시 할루시네이션 방지와 비용 관리가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