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목포는 어디에? 전략 부재 도시의 민낯과 되찾아야 할 미래
카테고리
기획
서브카테고리
비즈니스 전략
대상자
지자체 정책 기획자, 지역발전 전략 수립 담당자 / 중간~고난이도
핵심 요약
- 목포는 AI 기반 정책 전략 미비로 '정책 소외 도시'로 전락
- 순천·여수 등 동부권 도시는 국립의대, 스마트 관광 등 구체적 프로젝트로 대선 공약 반영 중
- 목포는 해양·항만 자산을 활용한 AI 융합형 정책(스마트 해양물류, AI 관광 데이터 분석 등) 수립 필요
섹션별 세부 요약
1. **행정 공백과 전략 부재로 지역 비전 미비**
- 목포시는 부시장 직무대행 체제 하에서 정책 무대에서 이탈하며 생존 전략 제시 실패
- 전남도 종합 제안서에서 목포 관련 항목 거의 없음 → 행정 누락이 아닌 리더십 공백과 전략적 사고 결여로 평가
- 지역 정치인 지적: "목포는 대선 국면에서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과 다름없다"
2. **AI 시대의 디지털 전환 대응 미흡**
- 순천: AI 기반 의료·복지 시스템 도입 검토 중 / 여수: 스마트 관광, 탄소중립 산업단지 조성
- 목포는 디지털 전략·AI 행정 시스템·청년 정착 정책 논의 미비 → "기술이 머무르지 않는 도시" 이미지 강화
- AI 기반 관광 데이터 분석, 기후기술 연계 섬 정책 등 목포 특화 미래 전략 필요
3. **정치·행정 협력 체계 재정비 필요**
- 민관 협의체 구성 → 지역 고유 자산(해양, 도서, 관광) 기반 정책 우선순위 설정
- 중앙정부·전남도와의 협력 체계 재정비, AI와 융합한 해양산업·도서정책·물류 모델 개발
- 대선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실행 로드맵 구축 필수
결론
- AI와 지역 자산 융합형 정책 수립, 민관 협력 체계 강화 → 목포의 존립을 위한 필수 조건
- "기술 + 전략" 결합 없이는 AI 시대에 행정에서 도태될 수 있음 → 즉각적인 전략 수정 필요